3년간 고교 1천93곳서 1천166명
정부, 1학년 잠복결핵 검진 추진
해마다 전국 고등학교 5곳 중 1곳에서 결핵환자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는 고교생의 결핵 발생률을 줄이고자 전국 고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잠복결핵 검진사업을 추진한다.
30일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결핵환자가 발생한 고등학교(중복발생 제외)는 총 1천93곳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결핵환자가 발생한 고교는 2013년 539곳(총 2천322개교), 2014년 480곳(총 2천326개교), 2015년 430곳(총 2천344개교) 등으로 고교 5곳 중 1곳 가량이 결핵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중복감염을 제외하고 결핵에 걸린 고교생은 1천166명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15~19세에서 결핵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19세 결핵환자는 750명으로 10~14세(102명)와 비교해 약 5배가량 더 많다. 10~14세에서 10만 명당 4.2명꼴인 반면 15~19세에서는 10만 명당 23.5명꼴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다음 달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 가운데 희망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 검진사업을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일차적 초기 결핵환자를 조기 발견해 치료하고 이차적으로는 잠복결핵을 찾아 결핵 발병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검진은 전문 검진기관(대한결핵협회)이 학교를 방문해 채혈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잠복결핵감염 양성으로 확인되면 보건소 주관 아래 학생 보호자에게 치료과정과 치료약 부작용 등을 안내하고 자발적으로 치료에 동의한 경우에만 필요한 추가검사와 잠복결핵 치료에 나선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일선 고등학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며 “학생이 2주 이상 기침 등 증상이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도해 달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3월 ‘결핵 안심 국가 실행계획’을 확정하고 오는 202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10만 명당 12명 이하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