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병 ‘결핵’ 퇴출… 경기도, 노숙인·외국인 근로자 등 취약층 집중 관리

올해 검진대상 46만9천600명
집단시설 중점 순회 이동검진

제목 없음-1 사본.jpg
경기도가 인구 10만 명당 55명 수준인 결핵환자 발생률을 올해 50명 미만으로 줄이는 결핵 퇴치사업을 벌인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올해 결핵발생률을 지난 2015년 기준 도민 10만 명당 55명 대비 10% 낮추고 오는 2020년에는 10만 명당 44명인 20% 감소를 목표로 ‘2017 결핵 퇴치사업’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도는 총 96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이는 지난해 61억 원보다 35억 원 증가한 것이며 역대 결핵 퇴치사업 중 최대 규모다.

 

이번 사업은 높은 인구밀집도, 외국인 유입 증가 등으로 결핵 신환자가 꾸준히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도내 결핵 신환자는 지난 2011년 7천761명, 2013년 7천523명, 2015년 6천782명, 지난해 6천577명 등으로 감소 추세다. 그러나 지난해 기준 전국 환자 3만892명의 21.2%를 차지하는 등 발생비율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에 도는 노숙인, 65세 이상 고령자 등 취약계층과 고위험군에 대해 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잠복 결핵을 관리하는 등 지역사회 결핵 확산을 방지할 방침이다. 먼저 노숙인, 외국인 근로자, 다문화 가정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이동검진과 집단검진을 실시한다. 총 검진대상은 46만9천600명으로 지난해 검진한 41만7천997명보다 5만 명 이상 늘었다.

또 도는 보건소와 대한결핵협회 경기도지부를 연계한 의료영상정보시스템(PACS)을 통해 흉부 X선 영상판독을 지원하고 노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과 학교 등 집단시설을 중심으로 이동검진을 추진할 방침이다. 안산 등 외국인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주 1회 이상의 순회 이동 진료를 진행한다.

 

도내 27개 병원과 민간공공협력도 강화한다. 이들 권역별 민간의료기관에는 간호사 42명이 배치돼 보건소와 결핵관리를 위한 분기별 회의도 개최된다. 이 외에도 의료기관, 어린이집, 장애인 시설 등 집단시설 종사자 10만여 명을 대상으로 한 잠복 결핵 검진이 추진된다. 검진대상은 채혈검사 후 양성자에 한하여 흉부 X선 검사도 시행된다.

 

조정옥 도 감염병관리과장은 “결핵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관계기관과 협조해 철저히 관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