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으로 피해를 본 대중(對中) 무역 기업에 대한 지원을 본격 추진한다.
중기청은 지난달 8일 피해 기업을 돕고자 중국대응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고, 전국 14개 지방수출지원센터를 통한 피해사례 접수 및 지원체계를 가동해 왔다. 이에 중기청은 4월부터 이를 본격화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중국인증, 단기 컨설팅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피해최소화 및 조기정상화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중기청은 매출감소 등 피해가 구체화한 기업에 지원 조건을 완화해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한다. 긴급경영안정자금 신청요건에 ‘보호무역 피해 기업’을 추가하고 예산을 750억 원에서 1천250억 원으로 확대했다. 검역·허가 등 인증 관련 애로를 겪는 기업에는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을 통해 중국인증획득 과정을 지원하고 별도 인증전문가 도움이 필요한 기업에는 전문가를 연결해준다.
통관지연·계약파기 등 현재 진행 중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지 민간전문가를 활용한 ‘단기 컨설팅 사업’도 운영한다. 사업에 선정된 기업에는 각 350만 원의 단기 컨설팅 비용을 지원하고, 중국에서 활동 중인 25개 ‘해외민간네트워크’와 1대1로 매칭해 문제 해결을 돕는다.
한편, 중기청이 지방수출지원센터를 통해 대중무역 애로를 받은 결과 지난달까지 총 167건이 접수됐다. 통관검역 관련 애로가 63건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지연 관련 애로가 47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대금지연이 8건, 불매가 3건, 기타가 35건이었다. 중소기업청 관계자는 “가용한 모든 정책수단을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산업부·외교부·관세청 등 관련 부처와 협력해 대중 무역 피해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