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P가 스마트폰에 쏙~ 케이뱅크 차별화 서비스… 실물 기기 필요없어 ‘편의UP’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선보인 서비스 가운데 가장 차별화된 것은 ‘스마트폰 일회용 비밀번호생성기(OTP)’ 서비스다. 

실물 OTP를 들고 다녀야 이체를 포함한 모바일 금융거래가 가능한 시중은행 서비스와 달리 이 방식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모든 금융거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케이뱅크의 스마트폰 OTP는 말 그대로 실물 OTP 기능을 스마트폰 안에 넣은 방식이다. 은행권에선 케이뱅크가 처음이다. 스마트폰 OTP의 가장 큰 장점은 편리함이다. 

케이뱅크에서 스마트폰으로 이체할 땐 본인 계좌 비밀번호 4자리, 지문인증을 거친 뒤 처음 정한 OTP 비밀번호 6자리를 입력하면 이체가 끝난다. 지문 인증 기능이 없는 스마트폰은 본인 공인인증서를 등록하면 된다.

 

그동안 시중은행들이 선보인 간편이체 서비스는 인증단계를 단순화할수록 1일 이체한도가 30만~50만 원 수준으로 묶였다. 

이에 소비자들의 불편이 컸지만 케이뱅크는 1일 이체한도가 5천만 원이나 된다. 다만 1일 이체한도가 5억 원을 넘길 땐 실물 OTP를 따로 발급받아야 한다. 혹시 모를 금융사기를 막기 위한 조치다.

 

이런 가운데 기존 시중은행들도 OTP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현재 시중은행 모바일 앱에선 은행마다 차이가 있긴 하지만 훨씬 복잡한 인증 단계를 거쳐야 한다. 본인 지문을 등록하지 않았을 땐 계좌 비밀번호 입력→공인인증서 암호 입력→실물 OTP 인증→공인인증서 암호 입력 등 4단계를 거쳐야 한다. 

일부 은행이 지문인증 서비스를 내놨지만 지문 등록은 공인인증서 단계만 건너뛸 뿐 OTP 인증을 반드시 거치도록 돼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시중은행들도 스마트폰 OTP 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준비 중이다”라며 “향후 은행의 OTP 의존도는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