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피해 접수… 발주 감소 ‘최다’
市 “경영자금·특례보증 등 지원”
고고도미사일(THAAD·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보복공격으로 거래중단 사태가 잇따르는 인천지역 중소기업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6일 인천시와 인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국 관광 금지령이 내려진 지난달 15일 이후 현재까지 인천 125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6건의 피해 사례가 접수됐다.
사례별로는 발주 감소가 18건으로 가장 많고 통관 지연 15건, 통관 거부 6건, 샘플 반송 1건, 기타 6건 등이 접수됐다. A사와 B무역은 3월 들어 중국 바이어측이 구체적인 사유도 밝히지 않고 발주를 아예 끊었다. C사는 거래 불가 통보를 받았으며 D홀딩스는 주문이 중단됐다.
E식품은 중국 현지 판매가 불투명해 3월부터 수출 전품목 작업을 중단했으며, F통상은 기존 연매출 15억에서 0으로 감소해 수출이 불가능 상태이다.
피해 기업들은 수출 중단에 따른 매출감소 부터 생산제품 재고 발생, 원재료 구입 및 포장지 인쇄 비용 손실 등 3~4중고에 시달리며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이날 조동암 정무경제부시장 주재로 ‘사드 대응 경제대책회의’를 열어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시는 중국 외 일본. 베트남 등 동남아지역 수출 및 국내 식품판로 개척 방안을 강구하고 수출 식품제조업체에 대한 지속적인 상황 관리 추진한다.
재고 제품에 대해서는 국내 판매(소비) 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시는 또 경영안정자금, 신용보증재단의 소상공인 특례보증 상담, 판로 다변화 등을 지원하며 기업 피해를 최소화 해나갈 계획이다.
시는 중국인 건강검진, 성형 환자 등 단체 의료 관광객 감소로 직격탄을 맞는 중소 의료기관에 대해 중국 관련 동향 모니터링을 연중 지속기로 했다.
상황 장기화 될 가능성에 대비해서는 러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 및 중화권 공략을 위한 의료기관별 대안 마련도 추진한다.
한중 카페리 업계 승객 감소 때문에 시름에 빠졌다. 인천과 중국을 연결하는 10개 항로 카페리의 3월 여객 수는 총 5만5천805명으로 전년(8만69명)대비 30.3% 줄었다.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이용객의 절대 비중을 차지하는 인천∼톈진 항로는 무려 82.2%나 줄어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화장품과 카페리 업계 등 피해가 큰 업계를 중심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제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