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부 아니면 개헌 못해… 대한민국 불균형 시정
박근혜·문재인 정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헤어졌을 뿐
낮은 지지율? 첫술에 배부를 수 없어… 끝까지 갈 것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10일 지방분권 개헌과 관련, “헌법 속에 (새로) 담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 하면 중앙과 지방의 역할분담을 어떻게 할 것인가, 재정적인 뒷받침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통합정부 대통령 후보’를 캐치프레이즈로 무소속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 전 대표는 전국 지방대표 7개 언론사(경기일보·강원도민일보·국제신문·영남일보·전남일보·중도일보·한라일보)와의 공동인터뷰에서 “이번에 정치권이 개헌을 하면 지방분권 등이 다 포함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대표는 “근대 민주주의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방분권을 인정하고 가야지 중앙이 모든 것을 장악해 가지고 하는 시대는 지났다”면서 “지방경제를 활성화 하려면 국가를 전반적으로 균형 있게 나눠 생각해야 한다. 제대로 생각하는 대통령을 뽑으면 된다”며 자신이 적임자임을 주장했다.
여러 정파가 합해서 정부를 운영하는 ‘통합정부’를 강조하는 그는 “다른 말로 표현하면 협치, 연정도 되지만 연정이라는 것이 대통령제 하에서 어색하고 통합이라는 말이 적정하다”며 “우리 사회가 갈가리 찢어져 통합해야 한다. 유권자의 70~80%가 지지하는 정부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탄핵을 가져온 가장 큰 배경이 제왕적 대통령제의 모순으로, 헌법을 개정하는 것이 1차적인 과제 아니냐”면서 “통합정부가 아니면 개헌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김 전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게 팽을 당했다고 한다. 팽을 당한 것이냐’는 단도직입적인 질문에 “팽을 당했다라기 보다는 그 사람들이 정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하고 헤어졌을 뿐”이라며 “내가 뭘 가지고 그 사람들한테 바래고 했어야 팽을 당한 거지”라고 말해 박 전 대통령과 문 전 대표의 정직성에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다.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에 대해 “대한민국 사회의 극심화된 불균형을 시정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한 그는 “이번 선거에서 보수·진보 보다는 안보에 대한 불안을 느끼느냐 안 느끼느냐 그런 것이 크게 작용할 것”이라며 “최근에 와서 안보에 대한 중요성이 경제에 대한 중요성보다 앞서고 있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는 낮은 지지율과 관련, “출마선언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지지율 미미한 것은 당연한 거다. 첫술에 배부를 수 없지 않나”면서 “한국이 당면한 정치·경제·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누가 어떻게 해결할지 처방을 제시하면 사람을 뽑는 것이니까 국민의 몫이다”고 말했다.
‘끝까지 완주하느냐’는 거듭된 질문에 “나는 끝까지 간다, 안하면 안 했지. 내가 그런 얘기 하지 않았는가, 나는 어느 사람의 킹메이커 노릇 안한다고 누누이 얘기해 왔다”며 “보통 정치인처럼 개인의 사소한 이익을 위해 내 신념을 바꾸거나 그러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전 대표는 “우리나라가 당면한 것을 국민이 잘 이해하리라 생각한다”면서 “어떤 사람이 어떤 것을 제시했을 때 가장 적합한 것을 국민이 판단하면 된다. 당을 선택하지 말고 사람을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재민기자
김종인 대선후보는…
△한국외대 독일어과 졸업 △독일 뮌스터대 대학원 졸업 (경제학 박사)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국민은행 이사장 △보건사회부 장관 △대통령 경제수석 비서관 △국민경제자문회의 자문위원 △국회의장 헌법연구자문위원장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 △대한발전전략연구원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선대위원장비상대책위원회 대표 △5선(1112141720대) 국회의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