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법·비싼 임대료 걸림돌 제조업·공장 ‘脫인천’ 가속
전편에서, 인천항 전체(북항포함)의 벌크화물은 2006년 1억740만t에서 10년 후인 2016년 1억1천892만t으로 거의 정체를 보였고, 내항(1~8부두) 벌크화물 물동량은 2006년 3천509만t 이었으나 10년 후인 지난해(2016년)에는 1천940만t에 불과한 점을 살펴봤다.
항만전문가들은 이같은 인천항(내항)의 수출입 벌크화물의 감소원인은 수도권정비법 규제와 비싼 공장임대료로 인한 제조업체의 탈인천 가속화, 인천항 배후부지의 부족과 비싼 야적비용, 임대료, 원목보세장치장 부족, 제1항로(팔미도~북항)수심저하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 벌크화물의 컨테이너화, 해수부ㆍ인천항만공사(IPA) 등 관계기관의 컨테이너화물 집중경향 등이 벌크화물 감소의 주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먼저, 수도권정비법 규제와 비싼 공장임대료는 인천항 벌크화물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김종식 인천항만물류협회장은 “내항의 벌크화물이 해마다 2~3%씩 감소하는 가장 큰 원인은 비싼 공장임대료ㆍ야적지임대료 등으로 경쟁력이 없어 지방으로 공장이 이전하기 때문이다. 경인지역 제조업체의 지방이전을 막아야 인천항이 살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인천항의 서비스비용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도 중요 원인이다.
인천항만물류협회 관계자는 “벌크화물의 입출항료, 야적비용, 임대료 등을 재정비해야 한다. 항만관련 비용 추가 등으로 경쟁력을 잃은 지 오래”라고 말했다.
평택항에 양곡과 사료부두 등 일반 화물을 처리하는 부두가 잇따라 개장하면서 경쟁력에 밀려 물동량을 빼앗긴 것은 인천항 벌크화물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글로벌항만을 위한 ‘벌크화물의 컨테이너화’도 감소의 한 원인이다.10여년전부터 일반잡화 등의 화물이 포장 형태로 규격화(컨테이너화, 팔렛트화) 되었다. 컨테이너 화물은 늘어나고 일반 벌크화물 수요가 줄어든 것이다.
북항으로 가는 제1항로 수심이 얕아 화물선의 신속한 입항에 차질을 빚고 있다.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장은 “팔미도와 북항을 잇는 1항로의 계획 수심은 14m이지만 실제 수심이 10m 미만인 곳이 여러 군데 있어 대형 선박의 경우 3개월 평균 99척이 물때를 기다리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목재부두 원목보세장치장이 부족한 것도 벌크화물 감소에 영향을 준다.목재와 철제 하역을 하던 8부두가 중단되고, 북항으로 목재부두가 옮겨갔다. 그동안 임광토건,한진중공업, 원일 창고 등이 원목 보세장치장으로 활용돼 왔다. 그러나 임광토건 창고와 한진중공업 1·2ㆍ3창고는 지난해까지 공장용지로 전환된 상태에서 한진중공업 4창고 일부(매각중)와 10만여㎡의 원일창고만이 원목 야적장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김승태 (사)대한목재협회 전무는 “국내 수입목재의 60% 연간 2천100만t 내외가 북항으로 들어온다”며“원목수입업체 30개사와 목재협회 등은 그동안 인천시 외곽부지들을 야적장으로 임대하기 위해 시와 인천항만공사, 인천해양수산청, 산림청 등을 상대로 수차례 청원을 했으나 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인천항 주변의 잘못된 인천시 도시계획(주거ㆍ상업용지) 및 이에따른 환경민원발생도 벌크화물 위축의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연안부두~신포동 주변 주민들은 벌크화물의 분진 등으로 피해를 입었고, 이미 이전한 고철부두를 비롯, 이전요구를 받고 있는 남항의 모래ㆍ석탄부두 하역사는 민원과 과징금 속에 제기능을 펼치기 힘든 상황이다.
이같은 환경민원은 해수청과 IPA 등 관계기관이 컨테이너 중심 항만정책을 선호하는 동기를 제공했다.박창호 재능대 유통물류학과 교수는 “항만과 도시의 기능 배치가 조화롭지 않아, 시민과 벌크화물 양측에서 피해를 입어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신호ㆍ임준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