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차 추경 ‘연정예산’ 840억 반영

신규 300억·증액 540억 책정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관련 운송정산시스템 구축비용 편성

경기도가 2017년도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연정사업’과 관련해 840억 원의 예산을 반영한다.

 

경기도는 다음 달 도의회에 제출하는 추경예산안에 연정사업예산 53건, 840억 원을 반영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신규사업은 23건 300억 원, 예산 증액사업은 30건 540억 원 등이다.

도는 먼저 ‘광역버스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한 버스운송정산시스템 구축에 10억 원을 편성하기로 했다.

 

버스준공영제는 버스업체의 적정수입을 보장해주는 대신 노선변경이나 증차 등 관리 권한을 도와 시ㆍ군이 행사하는 것으로 서울ㆍ인천ㆍ부산 등 6개 광역시가 시행하고 있다. 버스의 가동률을 높여 입석률을 낮추고 근로여건을 개선, 안전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도는 160개 노선 2천45대 광역버스(직행좌석버스)를 대상으로 오는 7월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또 공공임대주택 개념을 본뜬 ‘공공임대상가’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연구용역비 1억 원을 추경에 담는다.

 

전국 처음으로 추진되는 공공임대상가는 기존 건축물을 매입하거나 택지지구에 신축해 영세 소상공인과 청년 창업자에게 저렴하게 임대하는 상가다.

 

‘우리동네 주치의’ 제도도 시범 운영하기로 하고 3억 원을 신규 편성한다. 우리동네 주치의는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을 찾는 의료급여자 또는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의 의료서비스와 보건소의 건강관리서비스를 연계해 환자를 관리하는 제도다. 도는 경기남부 1개 병원, 북부 1개 병원을 대상으로 시범 도입할 계획이다.

 

‘일하는 청년통장’ 사업 대상자를 6천500명에서 1만 5천 명으로 4천 명 늘리기로 하고 관련 예산도 94억 8천400만 원에서 108억 6천만 원으로 13억 7천600만 원 증액한다.

 

일하는 청년통장은 청년들이 일자리를 유지하면서 자산을 형성, 미래를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도에 사는 저소득 근로 청년이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도 지원금, 민간기부금, 이자를 합해 3년 뒤 1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연정예산은 다른 예산에 우선하는 만큼 최대한 편성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와 경기도의회는 12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제2기 경기연정 출범 후 첫 합동점검회의를 개최한다. 회의는 ▲경기연정 내실화 및 체계적 추진방안 ▲연정예산 및 추가경정예산 편성계획 ▲경기연정 모니터링 및 평가계획 ▲조직운영 개선 협의체 구성 및 운영 계획 ▲참석자 간 종합토론 등으로 진행된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