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청사진 발표
인천시는 올해 17개 사업에 14억6천만 원을 들여 공공시설과 사회복지시설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린다고 13일 밝혔다.
시는 경로당 42곳과 면사무소·주민센터 6곳, 119안전센터, 하수처리장 등 53개 공공시설 및 사회복지시설에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380억4천200만 원의 예산으로 소수력발전과 태양열급탕설비 등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했다.
소수력발전 320㎾, 지열냉난방 2천550㎾, 연료전지 8㎾, 태양열급탕 5천840㎡, 태양광발전 4천991㎾ 등의 에너지를 정수장·하수처리장·지하철역사·사회복지시설·공공청사·주민센터·경로당·소방안전센터·체육공원 등에 설치했다.
시는 그동안 추진해온 신재생에너지 설치로 온실가스를 연간 3천587tCO₂를 감축한 효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시는 올해 4억5천만 원의 예산으로 민간 300여가구에 태양광발전과 태양열급탕, 지열냉난방, 연료전지 설치 보조금을 지원한다. 지난 2009년부터 33억3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1천747가구에 이 보조금을 지원했다.
시는 또 올해 2억2천만 원의 예산으로 아파트 등 공동주택 300여 가구에 소형태양광발전 설치 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사회복지시설과 공공기관 등의 공공시설에 신재생에너지를 확대 보급하고, 민간 부분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스마트그리드 확대사업 등 다양한 에너지신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섬 가치 재창조를 위해 현재 화석에너지인 디젤발전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는 서해 5도를 비롯한 13개 도서에 단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지난해 47대의 전기자동차를 민간에 보급했던 것을 시작으로 오는 2020년까지 5천대까지 늘릴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공공시설과 민간 부문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려나가며 세계기후변화 대응의 선도도시로서 글로벌 녹색도시를 구현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백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