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국민·바른 연합’…교섭단체 혜택 노린 꼼수?

도의회 국민의당·바른정당 연합 교섭단체 최종합의 협치 외치며 혜택만 노린 야합
12명 이상 구성요건 충족… 예산 지원·연정위 참여 가능
민주당 “대선 앞둔 인위적 연대… 명분없다” 강력 비판

경기도의회 소수정당인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의 연대가 교섭단체 구성을 위한 ‘궁여지책’이라는 지적이 제기(본보 4월11일자 1면)된 가운데 양당이 교섭단체 구성에 최종 합의하면서 ‘꼼수 정치’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의회 양 교섭단체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정치성향이 다른 두 개의 정당이 교섭단체 구성을 목적으로 한 연대라는 점에서 ‘전형적인 야합’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18일 경기도의회에 따르면 염동식 부의장(바른정당ㆍ평택3)과 김주성 의원(국민의당ㆍ수원2)은 이날 오전 도의회 부의장실에서 회동해 교섭단체 구성에 최종 합의했다. 교섭단체명은 ‘국민의당ㆍ바른정당 연합’으로 결정했다. 대표단 구성은 의원 수가 많은 바른정당이 대표의원과 부대표의원을, 국민의당이 수석대표의원을 각각 맡기로 했다.

 

대표는 바른정당 천동현(안성1)ㆍ원욱희 의원(여주1) 중 한 명으로 조율 중이며 부대표는 적임자를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석부대표는 국민의당 김주성 의원이 맡는다. 양당은 교섭단체 등록을 오는 27일까지 마치고 다음 달 임시회부터 교섭단체로서 정식 활동한다는 방침이다.

 

도의회 교섭단체 관련 조례에는 ‘12명 이상 소속의원을 가진 정당은 하나의 교섭단체가 된다’고 규정돼 있다. 바른정당과 국민의당의 의원 수는 각각 11명, 5명으로 이들이 연대하면 교섭단체 구성 요건을 충족하게 된다.

 

교섭단체로 등록될 경우 사무실 및 지원인력(최소 2~3명), 교섭단체 분 의정운영공통경비ㆍ연구용역비, 사무실 운영 기본경비, 경기도연정실행위원회의 공동위원장직 배분 등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이들 양당은 교섭단체 대표가 정해지는 대로 연정위원회 참여를 도의회 민주당ㆍ한국당 대표들에게 요구할 예정이다.

 

염동식 부의장은 “이번 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협의는 4ㆍ12 재보궐선거 전부터 계속 논의했던 것”이라며 “이번 연대를 통해 연정 주체 중 하나인 남경필 경기지사가 연정추진을 비롯한 후반기 도정운영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도의회 내부에서는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연합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게 일고 있다.

 

민주당 김종석 의회운영위원장(부천6)은 “관련 조례 하에 충분히 할 수 있는 정치적 행위지만, 대선을 앞두고 정당이 인위적으로 합쳐져 명분없이 합종연횡하는 것처럼 보인다” 고 비판했다.

 

자유한국당 최호 대표(평택1)는 “소수당을 극복하기 위해 연합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미 연정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 큰 의미가 있을지 의문”이라며 “당의 정체성도 틀리고 이념도 안 맞는데 연합한다고 연정이 잘 되는 것도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바른정당 A국회의원은 “연대라는 게 중앙당 차원에서 일관되게 이뤄져야 하는 데 아무리 지방의회라고는 하지만 정치 성향이 다른 두 정당의 연대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허정민ㆍ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