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인천시당 유세차량 최대치 13대 풀가동
국민의당도 총 400여명 선거운동 나서 ‘여유’
바른정당·정의당은 자원봉사 의존 ‘고군분투’
인천지역 정당의 대통령 선거 비용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21일 인천지역 정가에 따르면 선거비용 대부분을 중앙당에서 지원받는 대선 특성상 각 시당이 중앙당 형편에 따라 ‘금수저와 흙 수저’ 방식의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인천시당은 중앙당이 받는 중앙선관위의 보조금(124억원)이 가장 많은 만큼 여유있는 모습이다.
먼저 선거전의 핵심인 유세 차량의 경우 선거법상 동원 가능 최대치인 13대를 풀로 배치해 지역구별로 누비고 있다.
선거운동원 수도 주요 정당 중 가장많은 160명을 확보해 선거운동 율동까지 교육시켜 가동하고 있으며, 정당사무소도 선거법상 최대 가능한 16개를 운영하며 세몰이를 하고 있다.
인천시당은 지난 17일 공식 선거운동일 첫날에 읍·면·동에 각각 1개씩 150개의 현수막 배치를 완료했다.
오전에는 유세차량을 이용한 시민 출근인사로 시작해 지역위원회별로 선거운동원들이 회의한 뒤 유세 현장을 누비고 있다.
자유한국당 인천시당은 중앙당이 당사 담보 대출로 선거비용을 충당하고 있는 만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거 예산은 중앙당에서 시당으로 배분, 시당에서 각 당협위원회별로 다시 배분하는 형태다. 9대의 유세차와 1개 동에 1명씩의 선거운동을 배치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2012년 대선 때보다 유급사무원을 대폭 감소하고 상당수 운동원을 자원봉사 형태의 무급사무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20일 계양역 출근길 유세에는 선거운동원 2명만이 피켓을 들고 서 있을 뿐 홍보물 배포 인원은 배치하지 못했다.
A당협위원회 소속의 한 관계자는 “득표율에 따른 선거보조 문제가 민감하다 보니 선거 초반 예산사용보다는 당원들의 자발적인 봉사활동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 선거 운동이 어렵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인천시당은 중앙당이 보조금과 캠프 예산 450~500억원을 확보한 만큼 구색을 갖추고 선거운동을 하고 있다.
정당사무소는 국회의원 지역구 및 구·군별로 16개를 운영중이며, 유세차량도 지역구별로 1대씩 13대를 가동하고 있다.
후원비를 모금하고 있으며, 선거운동원 150여명과 자원봉사까지 합쳐 총 400여명이 선거운동에 나서고 있다.
바른정당 인천시당은 빈곤 속에 고군분투 하고 있다.
중앙당이 캠프예산 없이 중앙선관위 보조금(63억원)으로만 선거를 치른다는 방침을 세웠기 때문이다.
선거운동원이 타 정당의 20%에도 못미치는 20명에 불과한데다, 자원봉사자를 합쳐야 100여명 안팍이다.
유세차량도 단 1대에 불과해 대로변 일부지역만 돌고 있다.
인천시당의 한 관계자는 “돈이 들어가는 선거운동은 사실상 포기한 상태로 선거운동 모양새만 유지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정의당 인천시당의 한 관계자는 (선거 비용에 대해서는)“한마디로 눈물이 앞을 가린다”라고 토로한다.
인천시당에는 별도의 편성 예산이 없어 당원들이 당비 모금과,선거운동을 직접하고 있다.
선거운동 유급 사무원은 엄두도 못낸채 당원들이 자원봉사로 선거사무원 등록하고 당원들이 몸으로 뛰고 있다. 선거 유세차도 인천 전 지역에 단 1대뿐이다.
지역정가의 한 관계자는“국회의원 의석별로 예산을 배분하고, 선거 득표율에 따라 선거비용 보전 여부가 결정되다 보니 일부 정당은 선거운동을 사실상 포기한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각 중앙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받는 선거보조금은 더불어민주당 123억원, 자유한국당이 119억원, 국민의당 86억원 바른정당 63억원 정의당 27억원 등이다.
유제홍·백승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