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긴장 고조 막아야” 트럼프, 시진핑·아베와 릴레이 전화 회담

북한이 25일 인민군 창건일을 맞아 6차 핵실험 등 도발 가능성이 점쳐지는 가운데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와 잇따라 전화통화를 하며 안보 협력을 강조했다.

 

이번 통화는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인 칼빈슨 전단과 일본 호위함들이 서태평양에서 공동훈련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북한이 칼빈슨호를 수장시켜버리겠다고 위협하는 등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상태가 최고조에 이른 상황 속에 이뤄져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세 정상은 이번 통화에서 북한 도발에 대한 단호한 반대 입장을 다지고 서로 간의 공조를 재확인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 측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행위를 결연히 반대하며 동시에 관련국들은 자제하는 태도를 유지하고 한반도를 긴장시키는 일을 피해야 한다”며 “관련국 모두가 책임져야 할 일에 대해 책임을 지고, 같은 방향을 향해 가야 한반도 핵 문제와 한반도 비핵화도 조속히 실현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좋은 회담을 했다”며 “중국 인민에 대해 존경심이 가득하며 미·중 양측이 중대한 의제에 대해 소통과 조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3일 이후 2주도 안 돼 전화통화를 나눈 두 정상은 북한의 도박을 억제하기 위해 긴밀히 협조하고 있음을 대외적으로 알리고 북한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하기 이전 아베 총리와도 통화를 하며 북핵 문제를 논의하고 양국 간의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

 

아베 총리는 통화 이후 도쿄에서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이 군사행동을 포함한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했는데 이를 말과 행동으로 보여준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전했다”며 “북한의 도발을 자제하도로 요구해 나가자는 데에 완전히 의견을 일치했다”고 밝혔다.

 

한편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통화는 따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민·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