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육아 휴직 꾸준히 증가… 공공기관 신규채용 10% 늘어

지난해 공공기관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가 1천 명을 돌파했다. 여성보다 육아휴직 사용자 규모가 적은 편이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6년 공공기관 경영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332개 공공기관에서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년보다 1천118명(10.1%) 늘어난 1만 2천215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사용자는 1만 1천198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1천17명에 불과했지만, 전년과 비교하면 28.4%(225명)나 증가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는 지난 2012년 370명, 2013년 491명, 2014년 678명, 2015년 792명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공공기관 임직원 정원은 1만 1천643명(4.0%) 증가한 총 29만 9천 명으로 집계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인력이 증원된 곳, 새롭게 공공기관으로 지정된 곳이 포함됐기 때문”이라며 “특히 작년에는 임금피크제 시행 때문에 전년보다 정원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신규채용은 2만 1천16명으로 전년과 비교하면 1천855명(9.7%) 늘었다. 한국전력공사가 전년보다 394명 늘어난 1천413명, 국민건강보험공단이 873명을 새로 채용했다. 비정규직은 12.6%(5천282명) 줄어든 3만 6천499명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은 2012년 4만 5천318명에서 4년 동안 8천819명 줄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