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2007년부터 축산 6차 산업지원, 23억 부가가치 창출

경기도가 축산의 6차 산업화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07년부터 10개 시ㆍ군에 축산 체험농장 16개소를 조성한 결과, 연간 23억 원 규모의 부가수입을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도에 따르면 축산 체험농장 6차 산업화 지원 사업은 농촌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수입축산물의 개방으로 말미암은 경쟁력 약화, 일자리 창출 및 축산물 소비위축 등 현재 축산업이 안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축산농가를 지원해 온 사업이다.

 

도는 지난 2007년부터 35억여 원의 들여 여주, 연천, 용인, 파주 등 10개 시군에 16곳의 축산 체험농장을 조성해 왔다.

 

이를 통해 축산물 생산에만 의존하던 축산 농가가 고부가가치 제품을 가공(2차)하고 나아가 축산 자원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등 서비스업(3차) 등을 종합적으로 융ㆍ복합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곳에서는 가축이 자라나는 과정과 치즈, 우유 등 축산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견학하고 즉석에서 맛보는 등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를 제공해 왔다.

 

그 결과, 지난 2016년 기준으로 육ㆍ유가공제품 판매, 체험비 등 다양한 소득원을 통해 연간 23억 원가량의 부가수입을 창출하는 효과를 거뒀으며, 지난해에만 총 16만 명의 체험객이 축산 체험농장을 방문했다.

 

도는 앞으로도 기존 낙농분야 위주로만 지원되던 사업을 한우, 돼지, 양계, 양봉 등 축종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축산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비 등을 지원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도시민 및 소비자에게 다양한 체험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견홍수 도 축산정책과장은 “축산체험농장이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자연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장소로 자리매김할 뿐만 아니라 농촌체험과도 연계하여 도농 상생과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일형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