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인공위성과 같은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위치를 보다 정확히 찾을 수 있는 등 항공교통시스템이 대폭 개선된다.
국토교통부는 1일 인공위성과 정보통신기술(IT)을 융·복합한 항공교통 선진화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급증하는 미래 항공교통수요에 대비하고 항공안전 강화와 운항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책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항공시장 성장이 급속화되면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공항과 항공정보, 항행시설 등 항공전반에 관한 시스템 중장기 발전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미국과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각자 미래 항공교통관리 종합계획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따라 국토부는 항공기 접근절차를 위성항법시설 기반의 운항체계로 확대, 항공기의 공항 접근성을 높이고 더 낮은 착륙 기상치를 적용하는 등 항공안전과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또 현재 아날로그 방식으로 생산·배포되는 항공정보체계를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해 필요한 시기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탄력적인 공역 사용과 효율적인 경로 운항을 유도해 비행거리와 시간을 단축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 같은 최첨단 기술 융·복합이 정착되면 항공기 이·착륙 과정에서 수평비행 없이 연속적인 상승·강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돼 항공기 온실개스 배출량 감축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항공교통시스템 개선을 위해 예산과 인력 등 투입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기본계획의 체계적 이행을 위해 세부계획도 같이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