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들이 지난해 후반기부터 대출금리 인상에 나선면서 이자수익 창출에 급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계의 이자수지는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이자수입에서 이자지출을 뺀 이자 수지는 5조 7천589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1975년 한은 통계작성 후 이자 수지가 적자가 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은행의 이자 이익은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이자순익은 33조 9천994억 원으로 전년 대비 9천억 원(2.7%) 늘었다. 저축은행의 이자이익은 지난해 3조 1천2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6천321억 원(25.3%) 증가했고, 카드사의 카드론 이자 수익도 2천972억 원 늘었다.
올해 1분기 상황도 마찬가지다. 1분기 4대 은행(KB국민, 신한 등)의 이자이익은 4조 3천672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4조 851억 원)보다 6.9%(2천821억 원) 증가했다. 이는 은행들이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시장금리가 올라가자 이를 빌미로 대출금리는 올리고 예금금리는 낮추는 ‘이자 수익 늘리기’에 급급했기 때문이다. 또 마음대로 가산금리를 올린 것도 한몫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가중평균금리는 지난 3월 3.43%를 기록, 2015년 말(3.28%)과 비교해 6.19%(0.2%포인트) 올라갔다. 그러나 은행의 예금금리(1년 정기예금 기준)는 1.58%로 같은 기간 12.71%(-0.2%포인트) 떨어졌다.
김동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