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AI(조류인플루엔자)를 막기 위해 사업비 200억 원을 들여 선진방역형 동물농장을 추진한다.
3일 도에 따르면 도는 도내 축산농가의 AI(조류인플루엔자) 피해예방을 위해 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 AI 피해를 본 10만 마리 이상 대규모 산란계농장 10곳을 선정, 건강사육 및 첨단 소독시설, 철저한 출입차단, 폐사 가축 처리 등의 방역체계를 갖춘 선진방역형 동물농장을 시범 운영한다.
도가 선진방역형 동물농장을 도입하기로 한 것은 지난해 늦가을부터 올해 봄까지 양계농장를 강타한 AI 파동 속에서도 첨단시설로 완벽한 차단시스템을 갖춘 포천의 K 농장의 경우 100만여 수를 키우면서도 전혀 피해를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우선 이달 말께 도의회에 상정할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60억 원의 사업비를 반영했다.
선진방역형 동물농장은 건강사육 생태를 조성하는 동시에 AI 등 질병 유입을 방지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이를 위해 1마리당 0.050㎡인 사육면적을 0.075㎡ 이상으로 확보하고 온도·습도·악취·출입자·환기 종합관리시스템, 환경모니터링시스템, 축분발효건조기 등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밀폐형 출입차량세척·소독시설, 축사 외부 이동형 소독방제시설, 폐사가축처리기, 적외선CCTV, 설치류·조류차단시설 등을 설치해 완벽한 방역시스템을 설치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지난 AI 발병 시 도내에서 손꼽히는 대규모 농장임에도 포천에 있는 K 농장은 전혀 피해를 보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바로 건강한 사육 환경 및 완벽한 질병 차단 시스템이었다”며 “도는 AI 발병에 따른 이동 제한이 지난달 14일자로 모두 해제됨에 따라 재입식 전에 대규모 농장을 위주로 선진방역형 동물농장을 선정해 운영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서는 지난 AI 발생으로 산란계농장 116곳에서 1천222만 마리를 살처분했으며, 이 가운데 10만 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대규모 농장 39곳이 80%인 982만 마리를 차지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