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계열을 전공한 청년 남성의 고용률이 지난해 처음으로 인문사회 계열에 추월당했다.
지난해 산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비교적 높은 수준의 고용률을 유지하던 자연계열 전공 청년 남성의 고용률이 급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자연계열을 전공한 15∼29세 청년 남성의 고용률은 69.6%로 전년 하반기보다 4.9%p 하락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하반기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
자연계열 청년 남성의 고용률은 지난 2013∼2014년만 해도 전체 평균 고용률(약 75%)을 웃도는 77% 내외를 기록했다. 하지만 2015년 1분기 전년보다 5.3%p나 하락한 69.3%를 기록하고서 70% 내외를 맴돌고 있다.
급기야 지난해 하반기 인문사회 전공 청년 남성 고용률은 69.7%로 자연계열 전공자보다 0.1%p 높게 나타났다. 인문사회 청년 남성 고용률도 꾸준히 떨어지는 추세지만 하락 폭이 0.5%p 내외로 자연계열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하락 속도가 느리다.
자연계열 전공 청년 남성 고용률은 같은 전공의 청년 여성의 고용률에도 처음으로 뒤처졌다. 지난해 2분기 자연계열을 전공한 청년 여성 고용률은 1년 전보다 1.8%p 떨어진 70.5%였지만, 남성보다는 0.9%p 높았다.
남녀 구분없이 지난해 2분기 전공별 고용률을 보면 의약계열이 83.6%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교육계열(75.9%), 예술체육(75.9%), 공학계열(75.0%) 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자연계열, 인문사회는 각각 70.2%에 그쳤다.
이처럼 자연계열 남성의 고용률이 급락한 것은 지난해 불어닥친 제조업 고용 한파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제조업 취업자의 전공은 대부분 공학ㆍ자연계열이다. 하지만 지난해 조선ㆍ해운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한파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 6만 5천 명 줄어든 이후 9개월째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자연계열 전공 여성의 고용률이 높게 나왔지만 그렇다고 여성의 사정이 낫다고는 볼 수 없다”면서 “지난해 남녀 모두 고용률이 하락한 가운데 남성의 상황이 더 안 좋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