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성장 거점” 한 뜻… 新산업 성장 기대감
지난 2003년 국내 1호 경제자유구역으로 출범한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의 지난해 기준 누적 외국인 투자유치 신고액은 모두 95억4천300만달러에 달한다.
지난 1년동안 성과만 보더라도 모두 18개 기업과 계약을 체결, 15억6천900만달러를 신고하며 목표 대비 168.7%를 달성하는 등 인천 경제는 물론 대한민국 전체 경제발전에 일조하고 있다.
그러나 IFEZ는 정부의 수도권 규제에 묶여 추가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예외인정 없는 지역 균형성장 논리에 막히다보니 신산업 유치에 난항을 겪으면서 단순 베드타운으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각 주요정당들은 일제히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을 인천지역 핵심공약으로 꼽으며 선거 막판 표몰이에 나서고 있다.
7일 주요정당 인천시당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시당은 3개 경제자유구역별 맞춤형 발전방안을 지역 핵심공약으로 내걸었다. 송도의 경우 전임 송영길 시장 시절 유치한 녹색기후기금(GCF) 활성화를 통한 녹색환경금융도시로 건설하겠다는 구상이다.
송도 인근에 GCF 연관산업 클러스터를 구축,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플랫폼을 구성하겠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GCF 연관 국제회의 유치도 확대해 MICE 산업 활성화를 추진하겠다는 방안이다. 또 제3연륙교 조기건설을 통해 영종·청라지역 경쟁력 확보와 투지유치를 확대, 장기적으로 인천~서울~경기가 연결되는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수도권 정비법 규제완화을 핵심공약으로 내걸며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 15년을 맞아 송도는 CT(문화 콘텐츠)·BT(바이오) 중심, 청라는 로봇랜드와 자동차성능검사장 등의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4차산업 중심, 영종은 항공우주산업 중심도시로 거듭나게 한다는 맞춤형 전략을 제시했다.
국민의당은 대한민국 성장 거점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을 꼽으며 제자리 찾기를 선언했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목적에 걸맞는 경제발전을 국가가 나서 지원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지역별로는 송도를 바이오·반도체 벨리로, 청라를 로봇산업 중심으로, 영종을 항공(MRO 산업), 레저산업 거점으로 각각 특화·발전시키겠다는 세부 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홍일표 전 시당위원장(남구갑)이 이탈한 바른정당 측은 앞서 발표한 인천지역 7대 공약에 경제자유구역 활성화방안을 포함하지 않는 등 뚜렷한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정의당 시당의 경우 대한민국 양극화를 초래한 경제자유구역은 오히려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앞선 정당들과는 반대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