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 선거가 내일 실시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으로 조기 선거가 실시되어 비록 선거운동기간은 짧았지만 선거가 주는 의미는 역대 어느 대통령 선거보다도 더욱 중요하다. 탄핵 자체가 민의에 의하여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이번 선거에서 민의가 어떻게 반영되느냐는 한국의 장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첫째 선거에서 중요한 것은 유권자가 투표에 많이 참여하여 민의의 소재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이다. 우선 투표율이 낮으면, 이는 곧 상당수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자들을 비롯한 정치권을 불신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설령 특정 후보자가 선거에서 당선되더라도 대통령 직무를 수행하는데 권위를 잃어 국정 운영에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다행히 지난 4~5일 실시된 사전투표에서 역대 선거에 비하여 무려 2배 이상의 많은 유권자가 참여함으로 5월9일 본 투표에서도 높은 투표율이 예상된다. 사전투표율이 26.06%로 집계되어 선거인 총 4천247만9천710명 중 1천107만2천310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이는 유권자의 4분의 1이 투표를 마친 셈이다. 그러나 사전투표율이 높아 이제 내가 투표를 하지 않아도 결과에 큰 지장이 없다는 안이한 사고를 버리고 투표장에 꼭 나가 깨끗한 한 표를 행사해야 한다.
둘째 가짜 뉴스, 실현성 없는 인기웅변적인 단발성 선거 공약에 현혹되지 말고 위기에 처한 한국호(韓國號)를 이끌 지도자가 누구인가를 철저히 분석하여 투표해야 한다. 지난 6개월간 탄핵정국으로 인한 지도자 공백 때문에 한반도와 관련된 중요한 결정에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코리아 패싱’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소외를 당하고 있다. 사드, 북핵 문제 등 주변 강대국과 외교를 통해 해결할 과제가 산적함에도 철저히 소외당하여 우리의 국가이익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발전에 명확한 비전을 갖고 안보문제를 대처할 수 있는 대통령을 선출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은 최근 심한 갈등으로 분노의 사회가 되었다. 특히 탄핵정국에서 야기된 탄핵찬성의 촛불과 탄핵반대의 태극기시위 간의 대결은 깊은 갈등의 골을 만들었다. 이에 지역·세대·빈부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하다. 특히 정치권도 다당체제로 정쟁만 하고 있어 갈등해결과 사회통합은 차기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이다. 이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하면 19대 대통령 역시 갈등과 정쟁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국정이 표류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통합을 위해 일할 대통령을 선출해야 할 것이다.
선거결과에 대한 최종 책임은 정당도, 후보자도 아닌 유권자 자신임을 스스로 인식해야 한다. 국가발전은 유권자의 귀중한 한 표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새삼 명심, 투표장에 나가 주권자의 책무를 당당하게 행사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