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정당이 약속했던 新산업 방향
두뇌, 기술 집약된 경기ㆍ인천으로
수원ㆍ안산ㆍ인천 송도 圈 등 충분
역대 정부마다 중점 추진 사업이 있었다. 김대중 정부의 중점 과제는 ‘IT’였다. 초고속정보망 구축으로 인터넷과 정보통신이 급성장했다. 노무현 정부는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을 밀어붙였다. 지능형 로봇, 차세대 이동 통신, 바이오 신약이 약진했다. 이명박 정부는 녹색성장을 신성장 동력으로 추진했다. 4대 강 주변 개발과 경인운하 완성이 결실이다. 박근혜 정부는 창조경제를 전면에 내세웠다. 경기도와 인천시 등에 창조경제 혁신센터가 운영됐다.
19대 대통령 선거전은 어떤 경제 공약을 남겼는가. 바로 4차 산업혁명이다. 그런데 모든 정당이 그 본산이자 출발점을 경기도로 꼽았다. 경기남부 4차 산업혁명 선도 혁신 클러스터 조성(더불어민주당), 경기 남부 4차 산업 중심 테크노밸리 조성(자유한국당), 경기도 4차산업혁명 전초기지화(국민의당), 4차산업혁명 경기도 전초기지(바른정당), 지식집약형 4차산업 기반 클러스터 조성(정의당)이다. ‘4차 산업혁명’과 ‘경기도 전초기지’가 예외 없이 겹친다.
그 선거가 이제 끝났다. 문재인 당선자에 쏟아지는 국민적 바람이 다양하다. 국민 통합으로 미래를 향해 가자는 목소리도 있다. 부패 청산으로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자는 염원도 있다. 어느 것 하나 틀린 목소리가 없고, 어느 것 하나 염원하지 않는 게 없다. 하지만,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의 전초 기지 경기도’를 첫 번째 주제로 삼고자 한다. 문 당선자가-나머지 후보자들도 한목소리로 공약한-이 정책을 새 정부가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촉구하는 바다.
선거 기간, 경기ㆍ인천 유권자들은 외면됐다. 어떤 후보는 호남에, 또 다른 후보는 영남에 모든 것을 걸었다. 세종시 완성(충청), 항공산업 발전(영남), 미래 자동차 산업 육성(호남) 등의 지역 공약을 역설했지만, 경기도 개발 공약 발표에는 인색했다. 규제 철폐라는 수도권 주민의 숙원에 대해서도 ‘형평성 있는 추진’ ‘지방과의 균형 발전’이라는 애매모호한 말로 빠져나가곤 했다. 그 정치공학적 이유를 모르는 바 아니다. 새삼 탓하려는 것도 아니다.
다만, 선거가 끝난 시점에서 ‘경기도-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라는 약속만은 분명히 짚고 가려 한다.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만들겠다는 문 당선자의 약속을 다시 한번 각인시키려 한다.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되는 것이 4차 산업혁명이다. 그 영향이 미치는 곳이 경제·사회 전반에 광범위하다.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의 전초기지로 조성해 주기 바란다. 그럴만한 가치와 기회가 있는 땅이다.
세계 최고 반도체 기술의 산실 수원ㆍ용인ㆍ화성권이 있고, 기초 기술과 인력이 집약된 안산ㆍ시흥권이 있고, 제3세대 첨단 두뇌들이 살아 숨 쉬는 성남ㆍ안양권이 있다. 세계화의 출구인 인천 허브 공항과 송도 국제도시가 있다. 문재인 정부가 선택하면 언제든 도약할 준비가 되어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새 정부의 목표를 떠나 대한민국의 목표다. 모든 국정 목표에 앞서 출발해야 한다. 그 결과를 가장 빠르게 만들어낼 곳이 경기ㆍ인천임을 확신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