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11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민정수석과 국민소통수석, 인사수석에 각각 조국 서울대 교수, 윤영찬 전 네이버 부사장, 조현옥 이화여대 초빙교수를 임명한 것과 관련, 시각차를 드러내며 임기 초반 기싸움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정의당은 문 대통령의 개혁과 소통 의지를 반영한 인사라며 환영한 반면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협치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했다.
민주당 윤관석 수석대변인(인천 남동을)은 이날 논평에서 “비서실장에 이어 수석비서관 인선은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밝힌 것처럼 ‘공정한 대통령,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취지를 잘 살린 인선”이라며 “젊고 개혁적인 청와대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도 논평에서 “문 대통령의 공약과 일맥상통하는 인사라고 평가한다”며 “임명된 수석들은 문 대통령과 함께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길 바란다”고 평가했다.
반면 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날을 세웠다. 한국당 정준길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조국 민정수석으로 하여금 검찰 개혁을 내세우면서 실제로는 검찰을 장악하려 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국민도 적지 않다”고 비판했다.
국민의당 고연호 수석대변인도 “선거기간 안철수 후보의 포스터를 폄하하고 가짜 암살뉴스로 국민을 선동하는등 네거티브를 일삼아 왔다”고 지적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 역시 “대체적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라는 공통분모가 내재해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며 “노무현 정부와 86 운동권 인사들의 대거 등용이 행여 대결의 정치 또는 패권정치로 귀결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꼬집었다.
송우일 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