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차산업혁명의 人力, 技術, 資本, 市場 / 전부 갖춘 유일한 곳은 경기도뿐이다

첫 번째, 경기도의 인력을 보자. 수원 광교 테크노 밸리 27만㎡에 입주 기업이 203개다. 여기에 상주하는 임직원만 3천232명이다. 바이오, 천연물 산업 등 첨단 기술로 무장한 벤처형 인력이다. 성남 판교 테크노 밸리도 있다. 66만㎡의 이곳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벤처 중심이다. NHN 엔터테인먼트, 엔씨소프트 등 입주 기업만 1천200개다. 안산 사이언스밸리는 떠오르는 첨단 산업단지다. 정보 통신, 의료기기, 바이오산업의 본산이다.

두 번째, 경기도의 기술력을 보자.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 문화기술(CT), 나노기술(NT) 등 첨단산업이 집약돼 있다. 판교에 조성 중인 ‘판교 제로도시’(43만㎡)는 4차산업혁명이 추구하는 모델에 가장 가깝다. 자율주행차, 빅데이터, IoT, 5G 이동통신 등을 갖춘 미래형 도시다. 올해 말, 이곳에 세계 최초의 자율주행자동차 실증단지가 들어선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체감 기술 가운데 하나인 의료, 바이오 기술도 경기도에 모두 있다.

세 번째, 민간 자본도 충분하다. 문재인 정부 구상은 정부 주도형 혁명이다. 대통령 직속 위원회 등 조직ㆍ제도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혁명의 현장은 기업이다. 그 실효성 있는 실탄은 민간 자본이다. 이 역시 경기도가 적지(適地)다. 나노기술은 지난 2014년 전국 매출 1천322억원 가운데 895억원이 경기도 기업의 실적이다. 생명기술 역시 전국 75억원 가운데 33억원이 경기도의 것이다. 따라올 수 없는 경기도만의 산업 자본이다.

네 번째, 시장(市場)도 경기도다. 1,300만이 산다. 인천 서울까지 합하면 한국 인구의 절반이 넘는다. 4차 산업혁명은 첨단 기술과 소비의 융합으로 완성된다. 인구, 주택 등 소비 시장이 성패(成敗)를 좌우한다. 그래서 선진국들이 4차산업혁명 성패의 기본 조건으로 소비 또는 시장을 따진다. 경기도는 여타 지방과 비교가 안 되는 시장을 갖고 있다. 기술 개발과 소비, 그리고 재투자로 이어질 완벽한 선순환 구조를 갖춘 기회의 땅이다.

결론이다. 4차산업혁명의 중심은 경기도다. 문재인 정부가 경기도를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택하는 것이 순리(順理)다. 고급 인력을 쫓는 순리고, 첨단 기술을 쫓는 순리고, 축적된 자본을 쫓는 순리고, 무한대 시장을 쫓는 순리다. 임기 내 4차산업혁명의 효과를 현시(顯示)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이기도 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