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파크 캠퍼스 4차산업 메카 들어서
스마트카·스마트팩토리 사물인터넷·인공지능 등 7대 전략 프로젝트 산실
남경필 경기지사와 공재광 평택시장, 정규상 성균관대학교 총장, 이연흥 평택도시공사 사장, 윤용오 브레인시티개발㈜ 대표는 16일 오후 도청 상황실에서 ‘브레인시티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지부진했던 평택 브레인시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성균관대학교 사이언스파크 캠퍼스의 유치ㆍ조성을 위해 마련됐다.
협약에 따라 성균관대학교는 스마트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시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바이오신약, 방사광가속기 등 미래 4차 산업혁명 7대 전략 프로젝트를 추진할 성균관대 사이언스파크 캠퍼스를 브레인시티 내에 58만㎡ 규모로 조성한다.
이곳에는 7대 프로젝트를 수행할 산ㆍ학ㆍ연 R&D 단지와 함께 교육시설이 들어선다.
성균관대는 이곳에 교육과 연구 산학협력 등의 융·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전지기지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도와 평택시는 사업 및 캠퍼스 조성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행정 및 제반 인허가 지원, 지역 교육발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계개발, 4차 산업혁명 전진기지 구축을 통한 일자리 창출 체계 확립 등에 협력한다.
본격적인 사업시행을 맡을 공공시행법인(SPC)이 오는 22일까지 설립되면 올해 7월께 공공시행법인과 성균관대학교 간 성균관대 사이언스파크 캠퍼스 조성사업에 대한 분양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남경필 지사는 “평택브레인시티 내에 성균관대학교 사이언스파크 캠퍼스가 조성되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의 산학협력으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며 “브레인시티 사업을 통해 경기도가 첨단교육도시 조성과 일자리창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평택브레인시티는 주한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개발계획의 일환으로 2007년 도와 평택시, 성균관대학교 3자 간 업무협약에 따라 평택시 도일동 일원 482만 5천㎡에 성균관대 사이언스파크 캠퍼스를 유치하고 글로벌 교육·연구·문화·기업의 지식기반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이 사업은 국제적 금융위기로 인한 재원조달방안 불확실 등 난항을 거듭하다 2014년 4월 도로부터 산업단지계획 승인 및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 처분을 받았으나 이후 법원의 조정으로 사업시행자의 책임준공 약정 등 네 가지 이행을 전제로 기존 취소처분을 철회한 바 있다.
이후 지난 3월 22일 네 가지 철회조건 중 하나인 시공사와 책임준공 약정을 체결했으며 현재는 자본금 50억 원 규모의 공공SPC설립과 사업비 1조 5천억 원 PF 대출약정 체결 등의 이행을 앞두고 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