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오늘 오전 국무회의에서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일자리위원회 관련 규정이 통과됐다”며 이 같은 인선을 발표했다.
김진표 위원장 인선 배경에 대해 “김 위원장은 현재 민주당 국정자문위원장을 맡고 있고, 참여정부 당시 인수위 부위원장을 맡은 경험으로 국정운영에 대한 경험과 국정인수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출신으로 4선의 김 위원장은 수원중ㆍ경복고ㆍ서울대 법학대학을 졸업 후 은행에 취직해 금융실무를 익히고 행정고시 13회에 합격했다. 이후 그는 약관 26세의 나이로 대전지방 국세청 소비세과장에 부임했고 이어 세제실장에 오른 뒤에도 재정경제부 차관으로 고속승진했다. ‘민주정부’를 자임한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대한민국 최고의 공무원’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국민의 정부 당시 국무조정실장이었던 그를 노 전 대통령에게 ‘대한민국의 최고의 공무원’이라고 적극 추천했고, 이러한 인연으로 노 대통령 당선자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고, 그 후 참여정부의 초대 경제부총리와 교육부총리로서 개혁정책들을 추진했다. 이번 대선에서 공동선대위원장·일자리위원회 위원장 맡아 문재인 정부 탄생의 1등 공신 역할을 했다.
국정자문위는 위원장 1명과 부위원장 3명, 30명 이내 위원으로 구성되며 6개 분야별 분과위로 조직된다. 활동 기간은 최소 50일에서 최장 70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당·정·청에서 추천받은 인사들과 대선 캠프에서 활동했던 교수와 학자 등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위원회는 청와대 인근 창성동 정부종합청사 별관에 입주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자리위는 문 대통령의 취임 첫날 첫 번째 업무지시로 마련된 대통령 직속기구다. 정부 일자리 정책에 대한 점검과 평가, 일자리 정책기획ㆍ발굴, 부처 간 일자리 관련 정책 조정, 일자리에 관한 국민의견 수렴 등을 담당한다. 위원장은 문 대통령이 직접 맡는다.
이 부위원장은 청와대 비서실에서 일종의 정책특보로서 위원장인 문 대통령과 현재 공석인 일자리 수석과 함께 일자리와 관련된 정책 전반을 직접 조율하고 평가하는 데 참여한다. 특보는 대통령이 부여한 권한으로서의 역할로, 무보수직이다. 하지만, 관례상 부위원장은 장관급 예우를 받게 된다. 위원은 당연직 15명, 민간위촉직 15명 등 총 30명으로 구성된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