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해소 새정부와 통했다… 유통업계 ‘고용 새바람’

계산·주차·보안·미화 업무 도급 그동안 질 낮은 일자리 양산 오명
문재인 대통령 정규직화 의지 백화점·마트 앞다퉈 ‘동참 허니문’

▲ 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 의지를 강력히 밝히면서 유통업계에서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화두가 되고 있다. 사진은 대형마트 판매대에서 일하는 직원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 의지를 강력히 밝히면서 유통업계에서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화두가 되고 있다. 사진은 대형마트 판매대에서 일하는 직원들. 연합뉴스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열겠다는 새 정부 정책의 기조에 발맞춰 유통업계가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비정규직 해소와 고용 확대 의지를 나타내며 일자리 창출 정책 등에 동참하는 뜻을 내비쳤다. 단기 계약직 근로자와 용역 사원 등의 비중이 큰 유통업계의 고용에 어떤 변화가 나타날지 주목된다.

■상당수 외주, 차별받는 비정규직ㆍ무기계약직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현대백화점은 무기계약직을 포함한 정규직이 총 2천여 명이다. 이 중 비정규직은 200여 명이지만 계산원과 주차, 보안, 미화 등을 담당하는 도급사원만 4천 명에 이른다. 롯데백화점 직원은 정규직 5천102명, 비정규직 301명이다. 

비정규직 비중은 5.6%다. 주차, 미화, 시설, 안전 부문에서 일하는 용역 인력은 정규직의 2배에 달하는 1만 명에 이른다. 비정규직의 규모는 작지만, 외주 업체를 통해 고용하는 용역의 비중이 크다.

 

신세계백화점은 계산직원, 식품 판매사원 등 비정규직 사원을 정규직으로 모두 전환했지만, 주차, 보안 등의 부문은 역시 외부 용역업체에서 맡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이마트는 직원 2만 7천973명 가운데 무기계약직원이 1천616명이었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전체 직원 1만 3천814명 중 일반직이 4천578명, 무기계약직이 9천236명이다. 홈플러스에서는 비정규직 비중이 전체 직원의 10% 수준이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처우는 크다. 정규직으로 분류되는 무기계약직도 최저임금 수준의 시급과 승진 차별 등등 근로조건이 열악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유통업계 “정규직 전환 노력”…올해 채용도 확대 방침

유통업체들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일자리 창출 확대를 내세운 새 정부의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뜻을 내비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올해 1만 5천 명 이상을 채용하겠다고 공언했다. 신세계는 2015년에는 1만 4천 명, 지난해에는 1만 5천 명을 채용했다. 올해도 지난해 이상 수준으로 채용하겠다는 뜻이다. 오는 31일에는 킨텍스에서 중소 협력사회 함께하는 상생 차용박람회를 열고 맞춤형 채용 상담을 병행한다.

이마트 위드미는 우수 가맹경영주를 정규직으로 채용한다고 지난 22일 밝힌 바 있다. 롯데그룹은 유통계열사 5천 명을 비롯한 비정규직 기간제 근로자 1만 명을 앞으로 3년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현대백화점그룹은 전년보다 소폭 증가한 2천600명을 채용할 예정이다.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영업 및 지원인력 단시간 근로자를 오는 2019년 3월까지 전일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여건은 더욱 어려워지는데 정규직 전환과 일자리 확대 요구는 커지는 상황”이라며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들려면 유통업계 규제보다는 고용 효과가 큰 사업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