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월 말까지 ‘공공부문 일자리 충원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부문에서 81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한 것의 후속조치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박광온 대변인(수원정)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기획재정부가 가능한 6월 말까지 공공부문 일자리 충원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진행된 국정기획위원회 경제1분과 기재부 업무보고에서는 주요 업무현안과 중장기 과제 및 기획재정부 소관 공약들에 대한 이행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기재부 업무보고에서는 좋은 일자리 창출로 소득을 늘리고 소비 등 내수를 활성화해 성장으로 이어지는 ’소득주도 성장‘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진표 위원장(수원무)은 “고용 없는 성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초점을 좋은 일자리 창출에 맞춰야 한다”며 “하지만 정책이 실제 일자리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정부가 모범 고용주로서 공공부문에서부터 일자리 선순환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당장 추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정기획위는 ’재정계획수립 태스크포스(TF)‘를 구성키로 결정했다. TF 단장은 윤호중 국정기획위 기획분과위원장이 맡는다. 실무인력은 기획분과와 경제 1·2분과 소속 전문위원으로 구성한다.
박 대변인은 “재정계획수립 TF는 국정과제 추진에 필요한 재원 소요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뒷받침할 재원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각 분과위원회와 재정개혁 및 효율적 공약 추진 방안을 협의해 감으로써 국정과제의 성공적 추진방안 마련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