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문제, 미래지향적 극복 의견 모아”
日에 성의있고 진정성 있는 조치 선행 요구
문재인 대통령의 대일특사 자격으로 아베 신조 일본총리와 면담한 더불어민주당 문희상 의원(6선, 의정부갑)은 한ㆍ일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 “미래지향적으로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만큼 일본 측의 상응한 조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국민이 정서적으로 수용이 안 된다고 전했고 피해 당사자와 우리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일본 측의 성의 있고 진정성 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함을 설명했다”며 이 같이 말했다. 특히 한일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 문 의원은 “빠른 시일 내 한일 정상회담 추진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문 의원과의 일문일답.
- ‘국민 대다수가 위안부 합의를 정서적으로 수용하지 못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는데.
일본의 반응은 이해한다는 것이었다. 일본지도자들이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및 ‘간 나오토 담화’의 내용과 정신을 계승하고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 우리 국민이 정서적으로 수용이 안 된다고 언급했고 피해 당사자와 우리 국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일본 측의 성의 있고 진정성 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함을 설명했다.
미래지향적으로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데 의견을 모은 만큼 일본 측의 상응한 조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앞으로 정상 간에 자주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생각한다.
- 한일 정상회담 전망은.
한일 정상 간 전화 통화(5월11일)를 통해 상호 간 방문을 초청하신 만큼 빠른 시일 내 한일 정상회담 추진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특히 셔틀외교를 복원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앞으로 빠른 시간 안에 자주 만나기로 했다.
- 문 대통령이 보여준 소통 행보에 대해 어떻게 보는지.
허준의 동의보감은 ‘통즉불통 불통즉통’(通卽不痛 不通卽痛, 소통하면 고통이 따르지 않고 소통하지 않으면 고통이 따른다)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정치도 우리 몸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대통령의 제일 급선무는 국민통합이고 국민통합의 첩경은 국민과의 소통에 있다. 취임 이후 문 대통령이 보여준 소통 행보는 나무랄 데가 없다고 생각한다. 특히 청와대 내부 간 소통을 비롯해 다음 여당-야당-언론-국민과 소통하는 것이 일반적인 순서인데 아주 잘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대통령이 보여준 소통 행보는 신선하고 충격적이었다.
- 여소야대 정국 속에서 협치가 중요한데.
대통령의 의지가 제일 중요하다. 자신이 왕(제왕적 대통령)이 아니라 국민의 머슴이고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가 주인이라는 확고한 민주주의 신념을 가져야 한다. 국민의 대표가 모여서 국정운영을 이끌고 가는 국회에 대한 존경과 신뢰를 가져야 한다. 여당을 거수기나 시녀쯤으로 생각하거나 야당을 발목이나 잡는 국정 방해 세력으로 여기는 그런 관행과 악습에서 벗어나 진정성 있게 국회, 원내교섭단체, 국회의원 하나하나를 국정파트너로 생각하고 설득해야 한다.
문 대통령은 이러한 의지가 확고한 분이다. 대통령의 의지 못지않게 국회의 의지도 중요하다. 주인인 국민이 위임한 국정 전반에 대해 행정부에 대한 견제와 더불어 협조할 것은 적극 협조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상생의(통합의) 정치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 의정부 유세에서 평화통일특별자치도, 반환되는 미군기지의 안보테마 공원화를 약속했는데 전망은.
경기북도(평화통일특별자치도), 미군기지 안보테마 공원화는 의정부의 현안이자 미래라고 볼 수 있다. 문재인 당시 후보도 이 세 가지가 의정부뿐 아니라 경기북부 지역에서도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알고 계시기 때문에 약속하신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것은 꼭 지키는 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해법을 마련하고 실현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으로 생각한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