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골 인접·공장 밀집지역 해마다 반복
구청 홈피엔 해결촉구 게시글 ‘빼곡’
악취 원인 ‘오리무중’… 속타는 구청
여름철로 접어 들면서 인천지역 지자체들이 악취 민원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인천시 남동구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서창동 물빛공원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해결해달라는 민원성 글이 빗발쳤다.
냄새가 역해 다니기가 힘들다거나 시궁창 공원이라는 등 악취와 관련된 글이 100여 개에 이른다.
2013년 12월 남동구 서창동에 조성된 물빛공원은 총면적의 20% 가량이 바닷물이 드나드는 지역인 ‘갯골’로 이뤄져 있다. 주민들은 악취 원인으로 갯골 내 ‘펄’을 지목하고 모두 제거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남동구는 악취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는데 무작정 예산을 들여 펄을 제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구 관계자는 30일 “물빛공원을 수차례 가봤는데 펄 냄새 외에 악취는 체감할 수 없었다”며 “우선 해당 지역에 악취 저감 물질을 살포하고 원인을 조사할 것”이라고 했다.
악취 민원은 화학 공장이 몰린 서구, 주물공장이 많은 동구, 갯벌과 사료·목재공장이 있는 중구에도 빗발친다.
인천지역 악취 민원은 2010년 520건에서 매년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4년 2천469건으로 대폭 늘었다. 2015년에는 2천100건으로 감소했다가 지난해에는 2천789건으로 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악취 민원이 711건으로 전체 민원(2천789건)의 25%에 달했다. 이 가운데 441건은 화학 공장이 몰린 서구에 집중됐다. 악취의 원인과 발생지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은 냄새가 바람과 기온 등 기후조건에 따라 이동하거나 사라지는 특성 때문이다.
지자체들도 악취의 원인을 찾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민원은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원인을 알 수 없어 재발방지 대책을 세우지도 못하고 있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현행 악취조사방법이 부족하다고 보고 개선연구에 나서고있다. 연구원은 실효성 여부에 따라 개선된 악취 조사방법을 확대할 방침이다.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악취 발생지역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악취를 측정하는 ‘격자망법’을 올해 도입해 시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영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