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 비상취수원 변경 갈등 해법 찾고 이웃 지자체와 미세먼지 저감대책 추진
행정 수요에 비해 인력 턱없이 부족 ‘인구 100만 도시 특례시’ 지정 시급
이 부시장 취임 전후로 수원시에는 다양한 이슈가 잇따랐다. 2월16일 수원·화성 군 공항 이전 예비후보지로 화성시 화옹지구가 선정됐고, ‘광교저수지 비상취수원 해제’를 둘러싼 갈등도 있었다. 또 개최중심 도시로서 FIFA U-20 월드컵을 준비했다.
이 부시장은 “우리 시에 굵직한 현안이 많아 무척 바쁘게 100일을 보냈다”면서 “행정 수요는 광역단체에 못지않은데, 인력은 기초자치단체 수준이라 공직자들이 어려움이 많은 것 같다”고 취임 100일을 앞둔 소회를 밝혔다.
이 부시장으로부터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과 수원시가 추구하는 미래 비전 등에 대해 들어봤다.
■ 최대 현안 ‘광교저수지’와 ‘미세먼지’
이 부시장은 우선 수원시 최대 현안으로 ‘광교 비상취수원 변경’을 꼽았다. 광교산 주민들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요청하고 있지만, 시민단체는 반대하는 양상이다.
양측의 첨예한 대립이 벌써 수개월 이상 진행되는 상태. 이에 대해 이 부시장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대한 권한은 환경부에 있는데, 갈등에 대한 책임은 우리 시가 지고 있다”면서 “권한과 책임이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직자, 광교 주민, 시민단체, 환경부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대로 하려고 하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며 “환경을 보호하면서 광교 주민들이 겪는 불편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인내심을 갖고 고민하면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하늘을 뿌옇게 뒤덮은 미세먼지도 수원시가 해결해야 할 난제 중 하나다. 수원시는 4월 이 부시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수원시 미세먼지 저감 비상대책본부’를 구성했다. 수원시 홈페이지·앱에서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농도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들 의견을 듣는 ‘미세먼지 플랫폼’도 구축했다.
이 부시장은 “미세먼지 발생 원인의 20%가량은 이웃 도시에서 건너오는 오염원으로 이웃 지자체들이 함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해야 효과가 크다”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자체들이 이른바 ‘공기 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 특례시 지정 필수…U-20월드컵은 수원의 ‘자부심’
인구 100만 도시 특례시 지정도 이 부시장의 핵심 과제다. 광역 행정기관과 비슷한 행정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원시의 인력 구조 등을 해결하기 위한 당면 현안이다. 이 부시장은 “성남, 부천 같은 대도시 행정(부시장)을 경험한 후 수원에 부임했는데, 인구 100만 이상 도시 행정은 여느 대도시와는 또 달랐다”며 “광역 행정에 버금가는 행정 수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시 공직자들 능력은 광역 행정을 충분히 할 수 있을 만큼 훌륭하지만, 행정수요보다 인력이 너무 부족하다 보니 어려움이 많다”면서 “광역행정 수요에 기초단체 수준 인력이라는 불균형이 계속 이어지는 것은 큰 문제로, 특례시 지정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이 부시장은 FIFA U-20 월드컵 개최에 대한 자부심도 드러냈다. 이 부시장은 “우리 시가 이렇게 큰 대회를 유치하고, 훌륭하게 대회를 치르는 것이 자랑스럽다”며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애쓰시는 자원봉사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 공직자는 ‘시민’ 위해 존재
지난 2월 취임식에서 이 부시장은 공직자의 역할과 함께 ‘시민 중심 행정’을 펼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100일이 지난 현재도 그때 그 다짐은 현재 진행형이다. 그는 “이 정도면 시민들이 좋아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정책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공직자들이 시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들으며 시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며 “기업이 제품을 못 팔면 망하듯 공직자들도 ‘우리 정책을 팔지 못하면 시민에게 버림받는다’는 생각으로 시민의 뜻을 반영하는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시장은 이어 “미래 도시는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스마트시티’가 돼야 한다”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진정한 대의 민주주의가 가능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시민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찾아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명관 이관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