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아베와 통화… “대북 제재·압박 강화”

연이은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여 분간 전화 통화를 하고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핵 폐기 협상이 제재와 압박의 목표라며 대화 가능성은 열어뒀지만 아베 총리는 강경한 대북 대응을 주장하는 등 시각차를 보였다.

 

문 대통령은 30일 오후 5시45분부터 20여 분간 아베 총리와 가진 통화에서 “북한의 거듭된 도발이 일본에까지 위협이 된다는 총리의 우려에 충분히 공감한다. 총리 말씀대로 북한과 대화할 시기가 아니고 제재와 압박을 높여야 할 시기라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북한이 도발할 때마다 단편적 조치를 취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지만 근본적 해결방법 모색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제재와 압박의 궁극적 목표는 북핵의 완전한 폐기를 위한 협상 테이블에 북한을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는 한편으로 강력히 대응하고 한편으로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할 경우에 대화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계속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도 통화했고 특사도 다녀왔는데 미국 입장도 저와 같은 것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문 대통령에게 “북한은 3주 연속 미사일을 발사했고 이것은 국제사회에 대한 도전이며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일본은 북한에 항의했으며 강력한 표현으로 비난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한을 진지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중국의 경제, 미국의 군사 압력밖에는 없으며 지금은 대화 시기 아니라고 생각한다. 석유와 석유제품 공급을 중지하도록 중국에 강력히 요청해야 하고 이를 통해 막지 않으면 북한은 이 문제에 대해 진지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북핵 위협을 억제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생각이며 미국·한국과 안보협력 더 강화할 것”이라면서 “북한에 대해 어떤 메시지를 보내더라도 자신들의 계획에 따라 핵개발을 진행할 것은 분명하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의미 없고 북한의 시간 벌기에 이용당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아베 총리는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북핵 문제를 중요하게 다뤘는데 동북아시아와 세계의 주요한 위협이라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의 조기 일본 방문을 요청하고 “문희상 특사가 다녀갔는데 저도 특사를 파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담에서 선언문을 채택하는 데 일본이 주도적 역할을 해준 것을 높이 평가하고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총리와 지속적으로 대화해 나가길 바라고 특사를 보내주면 만나서 직접 협의하겠다”고 화답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