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 염두에 둔 인선 해석
문재인 대통령은 1일 국정원 1차장에 서동구 전 주파키스탄대사(62)를, 2차장에 김준환 전 국정원지부장(55)을, 3차장에 김상균 전 국정원 대북전략부서 처장(55)을 각각 임명했다.
이번 문 대통령이 국가정보원 1~3차장을 임명한 것은 국정원 개혁을 염두에 둔 인선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후보시절 국정원의 이름을 ‘해외안보정보원’으로 개편하고, 국내 정보수집 업무를 전면 폐지하고 대(對)북한 및 해외를 대상으로 한 안보·테러·국제범죄를 전담하도록 한다는 공약을 내세운 바 있다.
국정원의 국내 수사기능을 폐지하고 대공수사권은 국가경찰 산하 안보수사국을 신설해 대공수사를 하도록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구상이다.
국정원 개혁을 통해 불법민간인 사찰·국내정치와 선거개입·간첩조작·종북몰이 등 4대 공안 범죄를 근절하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공약이다.
국정원 1차장은 북한·해외파트를, 2차장은 대공·국내파트를, 3차장은 사이버·통신 등 과학정보 업무를 각각 관장한다.
문 대통령은 1~3차장 모두 국정원 출신 인사를 배치했다. 다만, 서동구 1차장의 경우 파키스탄 대사, 미국대사관 공사 등을 역임하는 등 외교 업무를 주로 관장했다는 특징이 눈에 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3명 모두 국정원 출신이다”며 “문 대통령 약속대로 국정원과 정치권의 관계를 단절하고 국정원을 순수한 정보기관으로 거듭나게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