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공동행사 평양 개최 주장… 교류재개 난항
북한이 5일 유엔의 대북제재와 우리 정부의 태도를 이유로 대북 인도지원단체의 방북을 거부했다. 문재인 정부의 남북관계 개선 의지에 따라 민간단체들의 대북 접촉이 이뤄지고 있으나 남북 교류 재개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이다.
대북지원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강영식 사무총장은 이날 “북한이 지난 2일 이뤄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와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며 “이번 주 예정돼 있던 말라리아 방역물자 반출과 우리 측 대표단의 방북을 당분간 연기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날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측에 “추후에 다시 협의하자”는 내용의 팩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당초 7~8일께 경의선 육로를 통해 개성으로 말라리아 방역 물자를 전달한 뒤 10일께 방북단을 꾸려 평양에서 추가 사업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우리 민간단체가 추진해 온 6·15 공동선언 남북 공동행사도 행사 장소에 대해 양측이 이견을 빚었다.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는 개성에서 행사를 제안했지만 북측은 경의선 통행·통관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며 평양 개최를 주장했다.
이에 남측위 측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북측이 개최 장소와 관련해 평양에서의 성과적 개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의견을 보내왔다”며 “행사 개최 지역이 북측지역인 만큼 장소에 대한 북측위원회의 의견을 존중해 평양에서 추진하자는 의견을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지만 원만한 추진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더욱이 우리 정부는 6·15 공동행사 개최 장소와 관련, 정치적 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큰 평양보다는 개성을 선호하는 기류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통일부가 이날 민간단체의 대북접촉 4건을 추가 승인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대북접촉 승인 건수는 총 15건으로 늘어났지만 북한이 미온적 태도를 보이면서 남북 교류 재개가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강해인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