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 정국에… 야당 설득 나서는 文 대통령

12일 국회 본회의 시정연설 일자리 추경 처리 시급 강조
상임위원장단과 회동 예정

▲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8일 오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8일 오후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둘러싼 여야 간 힘겨루기를 풀기 위해 여의도와의 소통강화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오는 12일 오후 2시 국회 본회의에서 시정연설에 나선다.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원내대변인은 8일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오는 12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추경안 관련 시정연설을 하는데 여야가 합의했다”고 말했다.

 

제 원내대변은 또 “일정이 촉박하지만,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않은 적이 한 번도 없다”며 “자산양극화와 소득양극화가 급속도로 심화되는 상황에서 야당이 반대할 유인이 덜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의 이 같은 행보는 여소야대 지형의 팽팽한 대치 정국을 풀기 위해 협치 전선을 강화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추경안 처리는 물론 인사청문회 대치 정국에서 갈등 완화, 정부조직법 개편안에 대한 협조 등 다목적 포석이다.

 

특히 현직 대통령이 추경 시정연설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국회 시정연설에서 ‘공공 부문 신규 일자리 7만 1천 개 창출’ 등을 위해 11조 2천억 원 규모의 일자리 추경안 처리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청년실업은 물론 저성장과 양극화의 늪을 탈출하기 위해 정부가 직접 나서서 일자리 창출에 재정을 마중물로 붓겠다는 의지다. 이른바 나랏돈을 풀어 일자리를 만들고 가계 소득을 불려 경제 성장을 이끈다는 문 대통령의 경제정책인 ‘J노믹스’의 본격적인 출발이다.

 

현재 여당인 민주당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경안’이라는 정부 주장에 힘을 실으며 6월 임시국회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야당은 일제히 추경 편성 요건에 맞지 않는 급조된 추경안이라며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

 

특히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은 문 대통령의 일자리 추경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들은 “‘일자리 늘리기’가 추경 요건에도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경직성 예산을 추경에 포함시키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시정연설에 앞서 조만간 민주당 지도부, 국회 상임위원장단과 잇달아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자리 추경, 인사청문회, 개혁 법안 통과 등 새 정부가 추진 중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회의 협조가 필수적인 상황에서 청와대와 국회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문 대통령이 민주당 지도부와는 조만간 만찬을 갖고, 국회 상임위원장단과는 다음 주에 오찬 회동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원식 원내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와의 만찬 때는 김현미ㆍ김부겸ㆍ도종환ㆍ김영춘 의원 등 민주당 현역 의원 4명을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배경 등을 설명하고 국정 운영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상임위원장단과 오찬 회동 때는 일자리 추가경정 예산안 처리와 함께 새 정부의 개혁 입법에 대한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앞으로 지명할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대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해인ㆍ송우일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