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2일 국회에서 일자리 추경 관련 첫 시정연설을 한 것에 대해 여야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 강훈식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민의의 정당인 국회를 향한 대통령의 발걸음이, 지난 정권보다 빨라진 점에서도 과거 어느 정권보다 국회를 존중하는 대통령의 진정성을 느낄 수 있다”고 긍정 평가했다.
강 원내대변인은 “하루라도 빨리 국회를 찾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치 하고자 하는 대통령의 진심에 야당은 대승적 차원의 협치 정신으로 응답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정용기 원내수석대변인은 “말로는 ‘협치’와 ‘국회존중’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일방적’ 협조요구와 ‘밀어붙이기’ 의지를 통보한 것”이라며 평가 절하했다.
이어 “‘언 발에 오줌 누기 식’의 일자리 대책만 나열했을 뿐 그 부작용을 어떻게 감당할지 대책 없는 대책”이라며 “한국당은 정부가 일자리를 직접 만드는 정책의 폐해를 다시 한번 지적하며 국가재정법에 어긋나는 추경에 결코 동의할 수 없음을 밝힌다”고 경고했다.
국민의당 양순필 수석부대변인도 “알맹이 없는 보여주기 식 행보에 그치고 말았다”고 주장했다.
양 수석부대변인은 “대통령은 인사청문회와 관련해 야당과 진실한 소통이나 실질적인 협력을 보여주지 못했다”면서 “대통령의 국회 방문과 소통 행보가 빈 수레만 요란했다고 평가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른정당 오신환 대변인은 “국회와 소통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와 행보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그러나 이번 추경안은 무턱대고 찬성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자리, 특히 공무원 채용에 대한 ‘절박성, 시급성’ 보다 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성’”이라며 “‘지속 가능성’은 국민적 합의와 건전한 재정설계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정확한 수요예측 없이 졸속으로 추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비판했다.
송우일·구윤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