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부터 지방선거까지 공통적인 공약이 있다. 일자리 창출이다. 이때의 객체(客體)는 대부분 청년이다. 청년 실업 해소라는 목표가 맨 위에 자리한다. 일자리 창출 못지않은 공통 공약도 있다. 노인 복지다. 이때의 객체는 노인이다. 노인 빈곤 퇴치라는 목표가 국정(國政)ㆍ도정(道政)ㆍ시정(市政)의 맨 위를 차지한다. 결국, 우리 선거와 정책이 쫓는 표심(票心)은 젊은이와 노인이다.
그 틈새에서 외면받는 표심이 베이비붐 세대다.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출생한 국민이다. 6ㆍ25 전쟁 이후 태어난 배곯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20대 이후 청ㆍ장년기에는 산업화의 주인공으로 허리띠를 맸다. 그 수도 전(全) 세대에서 가장 많다. 경기도만 하더라도 162만명이 여기 해당한다. 이들이 실직(失職)의 벼랑에서 추락하기 시작했다. 162만명이 직장에서 밀려나기 시작한 것이다.
정치가 노리는 표심에는 포함된다. 너도나도 ‘베이비 부머 대책’이란 걸 내놓았다. 문제는 결과다. 실천 의지도 없고, 현실 성과도 없다. 경기도의 경우 ‘4050 재취업 지원’과 ‘5060 베이비붐 세대 퇴직자 일자리 창출지원’이란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2014년 시작된 이 프로그램의 3년 실적은 840명(4050…), 40명(5060…)이 전부다. 시ㆍ군마다 내놓은 정책들도 실적 없기는 매한가지다.
경기침체나 재정부족의 문제가 아니다. 청년 실업을 위해 정부는 공공 부문의 문까지 활짝 열었다. 청년 수당이라며 현금을 주기도 하고(서울시, 성남시), 통장에 예금을 넣어주기도 한다(경기도). 노인 복지는 선거가 더해 갈수록 후해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올린 22만원에 문재인 정부는 5만원을 더 얹어주기로 했다. 베이비 부머들을 위해 재정을 투입한 곳이 있나. 우리는 듣지 못했다.
결국, 성의가 없는 것이고, 관심이 없는 것이다. 선거 때만 쳐다보고, 끝나면 외면하는 것이다.
지난해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통계가 있다. 베이비 부머 851명에게 물어본 표본 결과다. 퇴직 후 노후 예상 소득을 176만4천원이라고 했다. 살아갈수록 적자-노후 적자-가 불 보듯 한 가구가 최고 34%에 달했다. 그렇다고 실패율이 48.6%에 달하는 창업에 뛰어들기도 어렵다. 결국, 더 일할 기회를 얻는 것이 유일한 해답인데 이를 도와주는 곳이 없다. 이래놓고 또 사탕발림 공약을 내놓을 것인가.
어쩌면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성난 표심’으로 변해 있을 162만 베이비 부머일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