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된 규제 어쩌나… ‘막차대출’ 문의 쇄도

6.19 부동산 대책 은행들 “바쁘다 바빠”

제목 없음-1 사본.jpg
문재인 정부가 출범 뒤 처음으로 발표한 ‘6.19 부동산 대책’ 여파로 시중은행 일선 영업점이 분주하다. 규제 시행일인 다음 달 3일 이전에 대출을 받으려는 선수요가 몰리고 있는 것이다.

 

이번 부동산 대책에는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강력한 주택시장 규제는 빠졌지만 광명을 포함한 경기도 7개 시, 서울 25개 구 등 과열 진양인 40곳(청약조정대상지역)의 청약, 대출 규제가 담겼다.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사려는 대출 수요자들은 종전에는 LTV(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 비율을 각각 70%, 60%씩 계산해 돈을 빌릴 수 있었지만, 다음 달부터는 10%포인트씩 강화된 60%, 50%씩 적용받는다. 또 집단대출 LTV도 70%에서 60%로 강화된다. 집단대출 중 잔금대출에는 DTI 50%가 처음으로 적용된다. 그만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돈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실제 부동산대책 발표 첫날과 이튿날 일선 창구에는 이에 대한 여파에 따른 고객들의 대출한도 문의가 쏟아졌다. 일선은행은 고객 문의에 대비해 다음 달 3일부터 규제가 시행되면 ‘기존 대출자 중에서 중도금과 잔금 일정이 남아 있는 이들은 어떻게 해야 할지’, ‘이미 분양을 받은 사람들의 집단대출이나 잔금대출에는 어떤 영향이 있는지’ 등의 사례를 본점에 문의하기도 했다.

 

이번 대책에서 새롭게 조정지역에 포함된 광명은 앞으로 대출한도가 어떻게 될지 등을 묻는 고객들이 늘었다. A은행 관계자는 “기존 집단대출 취급 중인 아파트 단지의 경우 하반기에 입주 예정인 곳이 있어 잔금 대출 시 대출한도에 대한 문의가 많다”며 “신규 아파트 분양과 입주시기가 맞물려 있어 향후 문의는 더욱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2금융권 분위기도 마찬가지다. B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오늘 대출 문의가 급증하거나 증가하지는 않았다”며 “현재도 LTV 비율이 은행과 똑같아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에서 빌릴 수요는 많지 않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일각에서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대출 상담과 신청을 완료한 경우 기존 비율대로 대출받을 수 있는 만큼 6월 말 대출수요가 대거 몰릴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LTV를 70%까지 채워서 대출받는 사람이 많지는 않지만 집값이 오르고 있고 전세살이에 지친 이들이 대출한도가 줄어들기 전에 대출받아 내 집 마련에 나설 수 있다”며 “혹시 집 살 때 대출 못 받는 것 아닌가 하는 심리적인 불안감도 작용할 것”으로 말했다.

조성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