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향후 추가인상 의지도 분명히 하면서 글로벌 저금리 시대가 사실상 막을 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간 저금리에 익숙했던 재테크족의 관심도 이제는 금리인상기에 적합한 상품으로 빠르게 쏠리는 분위기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리 인상으로 우선 대출자들의 고민이 깊어졌다. 특히 금리가 높아지는 만큼 이자부담이 늘어날 변동금리 대출자 비중은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의 70~75%에 달한다.
다만 고정금리는 향후 금리변동에 따른 위험부담 비용을 반영하기 때문에 대체로 변동금리보다 이자율이 높은 편이다. 현재 시중은행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이자는 변동금리보다 0.1~0.4%포인트 정도 높다.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금리상승은 불가피하지만 당장은 가계부채 등을 고려할 때 금리가 급격히 오를 가능성이 적은 만큼 만기에 따라 대출 형태를 선택할 것을 권하고 있다. 단기간에 상환 계획이 있다면 변동금리를, 그게 아니라면 고정금리를 선택한 뒤 추후 전환하는 식이다.
금리 인상기라고 자산을 예금에만 묻는 방식으로 대응하다간 자칫 투자 시기를 놓칠 수 있다. 금리가 오르는 건 한편으로 경기가 회복된다는 의미이기에 지금이 투자의 적기일 수 있다.
국내 주식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다. 이미 증시가 고점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여전히 기업 수익성과 비교하면 저평가돼 추가상승 여력이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해외에서는 정치 리스크가 정점을 지난 유럽과 신흥국을 공략하라는 조언이 많다. 신흥국의 대미 수출 환경이 개선되고 원자재 수요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선 채권 투자보다 위험자산인 주식형 펀드에 관심을 둬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금리 인상기에는 채권의 수익률 하락이 예상된다.
반면 과거 환차익을 노린 대표 투자 자산으로 꼽혔던 달러화는 본격적으로 매입할 시기가 아니라는 의견이 많다. 금리인상이 시장에 먼저 반영된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이 기본적으로 약(弱) 달러를 지향해 달러가 박스권에서 움직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조성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