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진 의원들 제안 “대치 정국 해법은 소통… 진정성 있는 태도로 대화해야”

문희상 “국회와 국민이 같다는 생각 가져야”
원혜영 “여야 합의할 수 있는 인사기준 마련”
원유철 “국정지지율 높다고 밀어붙이면 안돼”
정병국 “국정은 팬심이 아닌 민심 돌보는 것”

▲ 문희상
▲ 문희상 원혜영 원유철 정병국
여야 경기지역 중진 의원들은 22일 문재인 정부의 내각 인사를 계기로 진통을 겪고 있는 것과 관련, 대치 정국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방안으로 지속적인 ‘소통’을 강조했다. 도내 중진 의원들은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긴 했지만 향후 정부·여당과 야당이 진정성 있는 태도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더불어민주당 문희상 의원(6선·의정부갑)은 대통령이 국회와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 의원은 이날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대통령이 국민에 의해 선출됐듯이 국회 역시 국민이 뽑은 대의기관”이라며 “대치 정국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대통령이 국회와 국민이 같다는 생각을 갖고 끊임없이 소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또한 “대통령이 지금까지 야당을 설득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거기서 멈춰서는 안 된다”며 “앞으로 국회와 계속해서 소통하려는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같은 당 원혜영 의원(5선·부천 오정)은 여야 간 합의할 수 있는 인사기준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원 의원은 “매번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인사 문제를 놓고 대립하는 현실이 답답하고 안타깝다”면서 “우리가 야당일 때 여당과 함께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는 책임을 느낀다”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여야가 합의할 수 있는 기준을 만들어 앞으로 이 같은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여야 중진 의원들이 초당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는지 적극적으로 찾아보려 한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 원유철 의원(5선·평택갑)은 문재인 대통령이 야당과의 대화를 통해 5대 인사원칙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원 의원은 “5대 인사원칙은 야당이 제시한 게 아니라 문 대통령이 국민과 약속한 것”이라며 “스스로 제시한 인사기준 원칙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해 국민과 야당에 사과하고 양해를 구하며 풀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이 강경화 외교부 장관 임명의 명분으로 제시한 ‘국민의 뜻’과 관련, 그는 “국정지지율이 높다고 해서 밀어붙인다면 협치가 될 수 없다”면서 “진정한 자세로 소통하고 협치의 틀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바른정당 정병국 의원(5선·여주 양평)은 “지난 ‘5·9 대선’에서 국민의 59%가량은 문 대통령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운을 뗀 뒤 “국정은 ‘팬심’이 아닌 ‘민심’을 돌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은 자신의 지지자들만을 바라보고 국정을 운영하는 듯하다”며 “진정한 국민 통합을 위해서는 지지자들의 소리만 들을 것이 아니라 합리적 비판의 소리까지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문 대통령이 강조한 탈권위와 소통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면서 “문 대통령뿐만 아니라 비서실장, 민정·인사수석 등 청와대 관계자들도 국회의 협조 요청에 적극 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송우일·구윤모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