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락이나 빵·우유로 대체 검토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로 구성된 노조들이 오는 29~30일 비정규직 철폐를 요구하는 총파업에 나서면서 경기·인천지역 학교급식에 비상이 걸렸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6일 오전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 찬반투표를 한 결과 조합원 89.5%의 찬성으로 총파업 참가를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전문상담사와 영양사, 조리종사원 등으로 구성된 인천지역 학교 비정규직 근무자는 현재 7천800여 명 규모로 알려졌다.
총파업 참여 의사를 밝힌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발표에 따라 인천시교육청은 대책을 마련하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시교육청은 파업 기간에 단위 학교마다 급식실의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경우 학교운영위원회를 열고 학생들이 도시락을 지참하거나 빵 또는 우유로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단축수업 등 다른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교육실무 직원의 빈자리에 특수교사, 통합학급교사, 교직원을 비롯한 가용 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했다.
경기지역도 마찬가지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경기 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경기지부(경기 학비노조)가 학교 비정규직이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29~30일 총파업 동참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이에 2만여 명 규모로 알려진 2개 노조원 모두가 파업에 참여할 경우 학교 급식 운영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이들은 정부와 경기도교육청에 ▲최저임금 1만 원 ▲학교 비정규직 처우개선 종합대책 마련 ▲전 조합원 동일 처우개선비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도교육청은 급식으로 학생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나섰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이들 노조의 총파업으로 일부 단위 학교마다 급식을 도시락 등으로 대체했다”면서 “학생들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리 대처할 수 있게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민·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