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를 빛낸 역사 인물] 이한응(1874∼1905)

구국외교 펼치다 순절 택한 우국지사

▲
조선 말기의 관료·우국지사. 용인 출신.

 

1894년 진사시에 합격해 한성부주사가 되고, 1899년 관립영어학교 교관으로 전출했다. 1901년 영국·벨기에 주차공사관 3등참사관에 임명돼 영국 런던으로 부임했다. 1904년 주영공사 민영돈의 귀국으로 서리공사에 임명돼 대영 외교의 모든 책임을 지고 활약했다. 한일의정서가 강제 체결되자 영국 및 여러 외국과 외교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해 8월 제1차한일협약으로 일제가 한국의 주권을 잠식하자 각국에 주재하는 우리 공사들에게 전신으로 연락, 한국 외교를 위해 재외사절단이 공동 항쟁을 하도록 토의했다. 또한 영일동맹의 부당함을 들어 영국 정부에 항의했다.

 

그러나 영국 정부가 주영 한국공사관을 폐쇄하는 등 영일동맹을 강화하고 일본이 한국 정부의 주권을 강탈할 음모를 획책하자 이를 개탄해 음독자살했다. 이러한 소식이 알려져 을사조약 때는 민영환·조병세 등이 순국하는 등 전국 각지에서 자살하는 이가 속출했다.

 

주영한국공사관 명예총영사 마틴턴의 주선으로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와 경기도 용인에 안장될 수 있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됐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