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은 27일 빅데이터 기반의 영농 컨설팅 체계를 마련하고자 ‘경기도 스마트팜 정보 시스템 구축’ 용역사업의 완료보고회를 열었다.
경기도 스마트팜 정보 시스템은 ICT 기술을 농장에 적용한 스마트팜 농가의 농장 환경과 작물 생육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ㆍ분석하는 시스템이다. 농장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빅데이터 기반의 영농 컨설팅 체계를 마련하고자 구축됐다.
올 1월부터 ‘빅데이터 기반의 경기 농식품 ICT 생육모델링 및 지원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시작됐으며 국비와 도비 6억원이 투입됐다. 시스템은 스마트팜의 원격 제어와 모니터링, 농가 경영관리, 컨설팅 비스 등이 가능한 3개의 응용시스템으로 나뉘어 구축됐다.
경기지역 스마트팜 농장 환경정보 및 생육정보 수집은 설치농가 30개소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수집하고 있으며, 완료보고회 이후 사용자 테스트 및 시스템 안정화작업을 거쳐 8월말부터 농가와 기술센터에 개방할 예정이다.
경기도 스마트팜 정보 시스템은 현재 도농기원에서 운영하는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스마트팜 농가의 환경정보를 수집ㆍ분석해 원격영농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스마트팜 농가에 대한 현장 기술지원 체계를 구축해 농가경영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순재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해 ICT 융복합기술을 영농에 활용하는 스마트팜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근로환경 향상에 이번에 구축된 정보시스템이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