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 지원센터·연구소 준공… ‘로봇랜드’ 제대로 만든다

1천190억 투입 각각 지상 23층·5층 규모
관련업체·연구기관·대학부설연구소 입주
市, 계획변경 사업성↑ 용역 8월 중 발주

인천 로봇랜드의 첫 건축물인 로봇산업 지원센터와 로봇연구소가 사업 추진 10년 만에 준공된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다음 달 서구 원창동 440의 1 청라국제도시 로봇랜드에서 로봇산업 지원센터와 로봇연구소를 준공한다.

 

로봇산업 지원센터는 지하 2층, 지상 23층, 전체 넓이 3만7천㎡ 규모로 로봇 분야 업체들이 입주하고, 로봇연구소는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1만1천㎡에 로봇 분야 연구기관과 대학 부설 연구소가 들어온다. 2014년 9월 착공된 이들 건물 공사비는 국비와 시비 595억원 등 총 1천190억원이다.

 

인천 로봇랜드 사업은 2007년부터 본격 추진됐지만, 국제금융위기 여파에 따른 부동산 경기침체로 민간투자 유치에 실패하며 10년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인천시는 2007년 11월 경남 마산과 함께 정부로부터 로봇랜드 조성 지방자치단체로 선정됐다.

 

시는 당시 로봇산업지원센터와 연구소와 별도로 민간자본 5천514억원을 유치해 로봇테마파크·워터파크·호텔·상업시설 등을 조성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재까지 민간투자는 전혀 유치하지 못했다. 오히려 인천시 산하기관이 참여한 특수목적법인(SPC) ㈜인천로봇랜드는 2009년 창사 이후 최근까지 자본금 160억원을 모두 잠식해 법인 해산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시는 결국 SPC 참여 민간주주사와 함께 총 40억원의 자본금을 추가로 확보해 인천로봇랜드에 출자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로봇랜드 사업계획도 크게 손질할 계획이다.

76만7천㎡ 사업부지에 테마파크, 상업·업무시설을 조성해야 하는데 수익부지 비율이 17%에 불과한 탓에 민간투자를 유치하기 어렵다고 보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고자 오는 8월 중 ‘로봇랜드 조성 실행계획 변경 용역’을 발주하고, 내년 4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업계획 변경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한편, 시는 28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와 함께 로봇산업 지원센터에 대한 시민대상 명칭을 공모한다. 공모 신청은 테크노파크 누리집에서 ‘지원사업’을 참조하면 된다. 공모 결과는 다음달 14일 누리집을 통해 발표되고, 우수한 명칭을 제안한 참가자 가운데 5명을 선정해 시상한다.

 

백승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