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北 ICBM 절대 용납 못한다”

文 대통령-시진핑 첫 정상회담 한반도 비핵화 공동목표 재확인
강력한 제재·압박 필요성 공감

▲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구 베를린시청 베어 홀에서 열린 쾨르버 재단 초청연설에서 한반도 평화구축과 남북관계, 통일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오후(현지시간) 구 베를린시청 베어 홀에서 열린 쾨르버 재단 초청연설에서 한반도 평화구축과 남북관계, 통일 등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독일 방문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취임 후 첫 한중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도발과 관련해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북한 미사일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 긴밀히 공조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베를린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이같이 논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제제·압박을 통해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국이 유엔 안보리 의장국으로 지도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직전 이뤄진 것을 감안할 때 경제 문제를 다룬다는 점은 알지만 중대 문제를 논의하지 않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참석 정상들이 공동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의지를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시 주석은 “중국은 대북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으며 북핵·미사일 저지를 위해 최대한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 주변국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적절한 방안을 조율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미사일이 한반도 역내 안정에 위협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한반도 비핵화가 공동의 목표라는 점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해 강력한 제재와 압박이 필요하다는 데도 의견을 같이 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 평가한다”며 “앞으로 중국이 보다 더 많은 기여를 해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시 주석은 남북대화 복원과 긴장완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문 대통령의 주도적 노력을 지지하고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신뢰와 인내를 바탕으로 남북한이 화해화 협력을 통해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통일 기반을 이뤄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사드 배치와 관련한 의견도 교환했다. 문 대통령은 “각종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양국간 경제적·문화적·인적 교류가 위축된 게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것이 양국 관계발전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각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이 더욱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시 주석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시 주석은 “중국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를 고려치 않을 수 없으나 양국간 교류협력이 정상화 되고, 나아가 보다 높은 차원에서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양 정상은 향후 편리한 시기에 문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보다 심도있는 대화를 계속해 나간다는데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이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방한해 줄 것을 요청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