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회복지시설보다 낮은 임금 개선해야”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복지사들
“10년간 임금상승률 1.5%, 수당도 없어”
정부 기관평가 거부… 집단행동 예고

경기도내 건강가정ㆍ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속 사회복지사들이 사설 사회복지시설보다 현저히 낮은 임금에 반발, 정부의 기관 평가를 거부하고 나섰다. 

이들은 현실에 부합하는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집단 행동도 불사할 전망이어서 향후 정부와의 협상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0일 도내 건강가정ㆍ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속 사회복지사 등에 따르면 현재 여성가족부가 운영하고 있는 경기지역 건강가정ㆍ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39곳으로, 이들 센터 소속 복지사들의 임금(팀원 1호봉 기준 연봉 2천112만 원)은 사설 사회복지시설 임금(팀원 1호봉 기준 연봉 2천619만 원)보다 500만 원 가까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센터 사회복지사들은 지난 10년 동안 임금상승률이 1.5%에 그친 것은 물론 초과근무수당과 연차수당 등 다른 법정 수당도 지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들은 처우개선을 요구하며 여성가족부가 3년에 한번 실시하는 기관 평가를 거부하고 나섰다.

 

특히 이들은 지난달 29일 비상대책위원회를 발족했으며, 같은 달 30일 파주시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시작으로 고양, 성남, 의정부, 평택의 센터에서 기관 평가를 거부하는 집회를 진행했다.

 

정임정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지난 10년 동안 도내 가족문제 해결 및 예방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센터 사회복지사들에 대한 처우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생활고는 물론 장기근속은 꿈 꿀 수도 없는 상황인 만큼 생계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여가부 관계자는 “현장의 상황에 공감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며 “종합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