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택배 종사자의 근로여건 개선을 위해 2022년까지 130억원을 들여 택배 자동화 기술을 개발한다.
11일 국토교통부는 ‘택배 상·하차 작업 자동화’와 ‘차량 적재함 높이 조절 기술’ 등 일자리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개발이 완료되면 택배 물건을 차량에 싣고 내리는 작업 등이 수월해져 ‘지옥의 알바’로 불려온 택배업 근로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택배 상·하차 자동화 기술 개발은 물품 상·하차, 분류, 배송 등 작업별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으로 추진돼 택배터미널에서 차량에 물건을 실을 때 상하, 좌우 조절이 가능한 컨베이어를 사용해 종사자의 고된 작업을 줄여준다. 물건을 내릴 때도 제품인식 센서가 탑재된 반자동 리프트가 택배 상자를 차량에서 내리는 등 전반에 걸쳐 자동화가 도입된다.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배송 물품 간 간격 조정, 정렬, 진행방향 결정 작업은 모두 자동화돼 분류 인력의 근무 피로도가 많이 줄어들 전망이다.
또 택배 차량이 지하 주차장으로 들어가지 못해 아파트 외부에 주·정차를 하고 무거운 짐을 직접 끌던 택배 기사의 어려운 점을 감안, 차량 적재함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이같은 기술 개발은 내년부터 본격화돼 차량 적재함 높이 조절 기술은 2021년, 상·하역 등 택배터미널 내 노동력 절감 기술은 2022년부터 상용화할 계획이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