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쇼핑몰 우후죽순… 소상공인 블랙홀

중기중앙회 ‘주변상권 실태’ 조사
66.3% 쇼핑몰 진출 점포경영 악화
수원지역 무려 80.6% “나빠졌다”

제목 없음-1 사본.jpg
수원과 판교, 하남 등 최근 3여 년간 경기지역에 대형복합쇼핑몰이 잇따라 들어선 가운데 복합쇼핑몰 인근의 소상공인이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복합쇼핑몰 주변 중소유통업자 및 소상공인 400명을 대상으로 ‘복합쇼핑몰 진출 관련 주변상권 영향 실태’를 조사해 11일 발표했다.

 

조사 자료에 따르면 수원과 하남, 판교 등 경기지역 3곳 등 복합쇼핑몰이 들어선 수도권 4곳의 중소유통업자 및 소상공인의 66.3%가 복합쇼핑몰 진출로 인해 점포경영이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특히 수원지역은 복합쇼핑몰 진출로 점포 경영이 ‘나빠졌다’는 응답이 80.6%를 차지해 AK플라자 수원점의 증축과 롯데몰 수원점 입점 등으로 인한 소상공인의 피해가 심각했다.

판교는 61.3%, 하남은 46.3%였다. 수원지역은 특히 의류업체의 타격이 컸다. 의류업체의 경영은 ‘나빠졌다’가 96.3%에 달했으며, 화장품 업체는 81.5%, 음식점 78.3%, 슈퍼마켓은 74.2%로 나타났다. 

 

복합쇼핑몰 진출 후 매출액은 전 지역에서 감소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수원지역은 쇼핑몰 진출 3년 후 소상공인의 월 매출액이 진출 전보다 29.1%, 1일 평균 고객 수는 38.2% 각각 감소했다. 판교는 월 매출액이 15.4%, 하남은 8.1% 하락했다. 

 

문제는 복합쇼핑몰 진출에 대해 소상공인의 대응 방안이 마땅히 없다는 점이다. 

응답 점포의 과반수에 달하는 45.2%는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 답했고, ‘휴업·폐업을 고려’하는 경우도 10.3%에 달했다. 

복합쇼핑몰 관련 지역상권 보호 조치 방안으로는 ‘대형마트 수준과 동일한 의무휴무일 지정·영업시간 제한 적용 확대(29.8%)’, ‘쇼핑몰 설립 등록제를 허가제로 변경(21.5%)’, ‘입점 업종 제한(13.0%)’ 등의 의견이 나왔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