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18명의 사상자를 낸 경부고속도로 수도권 광역급행버스(M버스) 추돌사고와 관련, 경기도 광역버스(G버스) 2천여 대에 첨단 운전자보조 시스템(ADAS) 등의 우선 도입을 추진한다. 또 국토교통부도 고속버스 졸음운전 사고를 막기 위한 현장 실태 파악에 나선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11일 도정점검회의에서 수도권 광역급행버스 추돌사고와 관련된 보고를 받은 뒤 “정책이라는 게 잘 만들어서 좋은 시스템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고, 국민이 불안해 할 때는 시급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단기적 대책으로 ▲버스 시설개선사업 추진 ▲버스 운수종사자 교통안전체험교육 추진 ▲운전자 휴식시간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 추진 등이 제시됐다.
버스 시설개선사업은 기존, 신규 차량을 대상으로 전방추돌 경보, 차선이탈 경보, 홍채인식시스템 등 첨단 운전자보조 시스템(ADAS)을 설치하는 것과 비상자동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남 지사는 “안전기금으로 하는 방법, 그게 안 되면 추경으로 하는 방법 등 가장 빠른 것을 찾으라”며 “첨단운전시스템은 광역버스(G버스)부터 설치하겠다는 원칙을 갖고, 나머지 시내버스에 대해서 비상제동장치 도입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또 남 지사는 대형버스에 의한 교통사고는 과다한 근무시간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있다고 지적한 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경기도에서는 근로자들의 안전한 운행과 매일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광역버스 준공영제의 연말시행을 차질 없이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도 고속버스 졸음운전 사고를 막기 위한 현장 실태 파악에 나선다.
국토부는 현장에서 여객사업법이 지켜지지 않는 원인을 내부적으로 분석하고 조만간 교통·자동차 전문가 토론회를 열어 안전 대책을 정비할 계획이다.
맹성규 국토부 2차관은 “다음 주부터 한 달 동안 전국의 버스 운송업체 200여곳을 대상으로 버스 운전사의 최소 휴게시간 준수 여부 등 안전관리 실태 전반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일형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