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기사 낮 졸림증 심각 ‘위기의 도로’

불면증·수면무호흡증도 호소… 졸음운전 위험 높아

제목 없음-1 사본.jpg
최근 대형차량 운전자들의 졸음운전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지역 버스기사 10명중 1명 꼴로 낮졸림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수면무호흡증’과 ‘불면증’이 버스운전기사의 졸음운전을 유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승철 교수팀에 따르면 지난 3~4월 경기도내 버스운전기사 304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수면질측정(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ㆍPSQI)’을 비롯해 낮졸림증을 검사하는 ‘낮졸림증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ㆍESS)’, 수면장애를 검사하는 ‘불면증지수(Insomnia Severity IndexㆍISI)’, 수면무호흡증후군을 검사하는 ‘베를린설문지(Berlin questionnaire)’ 등 총 4가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전체 운전기사 중 낮 졸림증을 호소하는 사람은 13.2%(4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 운전기사 304명 중 68.4%는 자신의 수면의 질이 불량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답했고, 이중 불면증을 호소하는 운전기사는 40.1%, 중증도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운전기사는 10.2%에 달했다. 또 전체 운전기사 중 27.6%는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에 해당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불면증이 중증일 경우 불면증상이 없는 운전기사에 비해 낮 시간에 졸음이 오는 낮졸림증 발생 위험도가 6.2배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일 경우 낮졸림증 발생이 3.9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홍승철 성빈센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버스운전기사의 졸음운전을 줄이기 위해서는 불면 증상과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 질환에 대한 선별 검사 및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운수업 종사자의 다양한 수면장애에 대해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과 관리가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15일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의과학연구원에서 개최되는 한국수면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송시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