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업계·시민단체 “민간 개발땐 부지·시설 임대료 급등”
조성 늦어지면 신뢰도 하락… 해수청 “투자비율 협의중”
인천지역 항만업계와 경제·시민단체가 인천 신항 배후단지를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재정 투자확대와 적기조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항발전협의회, 인천상공회의소,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14개 단체는 13일 공동성명을 내고 이같이 주장했다.
13일 인천해양수산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인천해양수산청은 최근 협의에서 신항배후단지 조성의 총사업비를 당초 5천350억원에서 2천900여억원으로 수정하고, 정부분과 민자분에 대한 투자비율을 협의중인 상태다.
정부는 또 최근 매립토 확보 대책을 세우면서 배후단지 2구역의 경우 인천항 제1항로 준설사업과 연계해 민간개발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항만단체들은 민간개발의 경우, 정부가 배후단지를 직접 조성했을 때보다 부지·시설 임대료가 급등할 것으로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항만단체들은 “부산, 광양, 평택 등 국내 주요 항만은 막대한 정부 재정으로 배후단지를 조성해 값싼 임대료로 항만 경쟁력을 높였다”며 “새 정부와 여당은 공정하고 형평성 있는 국가항만정책을 실현하는 차원에서 인천 신항 배후단지의 부족한 매립토 확보 예산을 재정으로 충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인천지방해수청 관계자는 “최종결정된 사안은 아직없으며, 정부ㆍ민간 투자 배분비율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항만단체들은 이날 “매립토 부족으로 인천 신항 배후단지 사업이 지연되면 컨테이너부두 활성화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대외 신뢰도가 추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배후단지 조성이 늦어지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바다를 매립할 모래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015년 사업을 시작할 당시 필요한 매립토 총량은 1천817만㎥로 추산됐고 이는 인천 신항 제3항로를 파내면서 나온 준설토로 충당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준설토 가운데 355만㎥를 송도국제도시 11-1 공구 매립에 사용한 데다 배후단지의 지반이 연약 토층으로 이뤄져 침하가 발생, 더 많은 매립토가 필요하게 됐다.
또 호안으로 매립 현장을 완전히 막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갯골이 발생, 매립토사가 146만㎥ 가량 유실된 것으로 추산했다. 배후단지에는 화물 보관, 집배송, 조립, 가공 관련 시설은 물론 업무·상업시설 등 항만 활성화에 필수적인 기능들이 들어선다.
인천해수청은 1구역은 내년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배후단지 2구역(94만㎡)은 1년을 늦춰 2020년 말에 3구역(54만㎡)과 함께 공급할 예정이다. 배후단지 조성 1구역(66만㎡)은 빠르면 올해 10~11월 중 발주될 전망이다.
항만 관계자는 “배후단지 조성 지연은 올해 말 1단계로 컨테이너 부두 6개 선석이 완전히 개장하는 인천 신항의 활성화에 상당한 악재”라고 우려했다.
김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